다산다복 상징 돼지…올해는 모두 풍성하기를
다산다복 상징 돼지…올해는 모두 풍성하기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2019 己亥年 황금돼지 해
신통력 지닌 동물로 재물로 쓰여
재산·복 가져오는 상서로운 길상
돼지그림 걸어 사업 번창도 기원
욕심·탐욕스런 존재로도 여겨져
돼지는 다산과 다복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사업이 번창하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돼지 그림을 걸어놓기도 했다. 사진=국립민속박물관
돼지는 다산과 다복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사업이 번창하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돼지 그림을 걸어놓기도 했다. 사진=국립민속박물관

올해는 기해년 돼지띠(己亥)의 해다. ‘는 황이라는 뜻으로 노란 돼지의 해황금 돼지 해라고 할 수 있다. 12간지의 열두 번째 동물인 돼지는 다산과 다복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돼지는 일찍부터 제전(祭典)의 희생물(犧牲物)로 바쳐졌다. ‘삼국지삼국유사의 기록에는 돼지를 신통력(神通力)을 지닌 동물로 여겨 신을 위해 올리는 제물로 쓰였다고 했다.

가축으로서의 돼지의 용도는 고기와 지방을 얻기 위한 것이었지만, 하늘에 제사 지내기 위한 신성한 제물(祭物)이었던 것이다.

돼지를 제물로 쓰는 풍속은 멀리 고구려시대부터 오늘날까지도 전승되는 뿌리 깊은 역사다.

고구려 때는 하늘에 제물로 바치는 돼지를 교시(郊豕)라고 해서 특별히 관리해 길렀고, 고려 때는 왕건의 조부 작제건이 서해용왕에게서 돼지를 선물 받았다.

조선시대에 와서도 멧돼지를 납향(臘享)의 제물로 썼다.

오늘날 무당의 큰 굿이나 집안의 고사, 마을 공동체 신앙에서도 돼지를 제물로 쓰고 있다.

돼지에 대한 유래를 보면 고구려 유리왕은 제물로 바치기 위해 기르던 돼지가 달아나자 왕이 이를 잡아오라고 지시했다. 국내성 위례암에서 겨우 잡을 수 있었다고 한다. 돼지를 잡는 과정에서 관리는 그곳의 산세와 지세가 매우 뛰어나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나라의 수도를 옮겼다고 전해진다. 돼지는 신의 뜻을 전달한 신성한 존재였음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다.

고구려 산상왕은 아들이 없었는데, 달아나는 교시를 쫓아 가다가 한 처녀의 도움으로 돼지를 붙잡고 그 처녀와 관계하여 아들을 낳았다.

돼지는 신에게 바치는 희생물인 동시에 신의 뜻을 전하는 사자(使者)의 모습의 신통력을 지닌다.

우리는 돼지꿈을 꾸게 되면 복권을 구입한다. 상서로운 길상의 동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고대출토유물, 문헌이나 고전문학에서도 돼지는 재산이나 복을 가져다주고, 집안의 수호신이라는 상징적 동물로 표현된다. 장사꾼들도 사업의 번창을 위해 정월의 첫 돼지날에 가게 문을 열어, 돼지그림을 부적처럼 거는 풍속을 이어갔다.

1970년대 이발소에서 많은 새끼를 낳은 어미돼지가 새끼들에게 젖을 먹이는 그림을 많이 관찰할 수 있었다고 한다. 사업이 번창하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돼지 그림을 걸어놓은 것이다.

이런 긍정적 이미지와는 달리 돼지는 탐욕스럽고, 더럽고, 게으르며, 우둔한 동물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설화에는 돼지가 탐욕스러운 지하국의 괴물로 등장한다. 속담에서는 돼지의 탐욕스러운 성정 즉, 욕심, 지저분함, 돼지의 목청, 어리석음, 게으른 성격을 비유하는 사례가 많다. 이러한 부정적 관념은 유대인과 이슬람교도, 성서에서는 종교적 금기, 악마의 의도와 유혹의 상징으로까지 나타난다.

하지만 이런 돼지의 부정적 이미지는 돼지를 사육하는 우리에서 파생됐을 가능성이 높다. 돼지가 목욕하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우리의 바닥은 늘 축축하게 해놓는데 여기에 돼지의 오줌과 똥이 섞여 있어 돼지가 지저분한 곳을 가리지 않고 살아가는 동물로 인식하게 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돼지는 여전히 풍요로움을 가져다주는 존재로 우리 민족에게 각인돼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