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현장 참사, 안전장치부터 감리하라
공사현장 참사, 안전장치부터 감리하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지역 공사현장에서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이른바 안전 불감증이 공사장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는 얘기다. 안전보건공단 제주지사 등에 따르면 최근 수년간 도내 공사장에서 발생한 재해 근로자는 2015년 552명, 2016년 629명, 2017년 709명 등으로 꾸준히 증가세다. 지난해만 해도 9월까지 379명이 사고를 당해 그중 6명이 목숨을 잃었다.

보도를 보면 지난달 30일 서귀포시의 한 아파트 건축공사장에서 타일 작업을 하던 40대가 8층 높이에서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일어났다. 앞서 24일에는 제주시 공사장에서 레미콘 차량이 근로자를 덮치는 사고가 나 병원으로 옮겨져 응급수술을 받았는가 하면 19일에는 추자도 현장에서 50대가 6m 아래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해 헬기로 긴급 이송되기도 했다.

이처럼 공사현장의 사고는 매번 근로자의 희생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안타까움이 더하다. 늘 안전시설을 챙기지 못해 사고가 나는 것이다. 그 이면에는 십중팔구 공사기한과 시공비 절감에 매달리는 건설업계의 뿌리 깊은 관행이 웅크린다. 한마디로 안전의 기본조차 갖춰지지 않은 후진국형 산업재해의 전형인 셈이다.

주지하다시피 공사현장은 항상 사고 요인이 잠재해 있다. 이는 원청·하청·재하청 등의 복잡한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된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하도급 단계가 늘수록 사업비가 줄어 안전장치가 허술해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안전전담 인력은 물론 관련장비 확보 등에 적잖은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다. 안전교육 체계가 미흡한 것도 사고 요인으로 분류된다.

이제 산업재해 후진성의 본질을 직시하고 안전에 대한 발상 자체를 전환해야 한다. 작금에 근로현장의 안전을 감독하는 기능은 사실상 전무하다. 안전을 따지는 전문기술자 없이 건물 품질 위주로만 돼 있는 감리제도를 근본적으로 수술해야 한다. 그래야 눈가림식 안전진단과 관리·감독 기능을 제대로 살릴 수 있다. 여러 번 강조하지만 안전사고는 예방조치만이 최선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