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숙박업, 민관 협력방안 주목한다
위기의 숙박업, 민관 협력방안 주목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심각한 과잉경쟁에 직면한 제주지역 숙박업의 문제 해결을 위해 민관이 머리를 맞댄다. 제주도가 민관 합동 대책회의를 구성해 숙박업계의 회생을 위한 상생·발전에 역량을 모은다는 것이다. 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도내 숙박시설은 5180곳·7만1790실에 달한다. 이는 2013년 2292곳·3만6335실에 비해 5년 사이 업체와 객실 모두 갑절이나 늘어난 규모다.

반면 관광객은 2016년 정점을 찍고 내리막 추세다. 2016년 1585만명에서 2017년 1475만명, 지난해 1433만명 등 2년 연속 감소했다. 실제 제주 체류 관광객는 하루 평균 17만6000명으로 이에 필요한 객실 수는 4만6000실 정도다. 결국 2만6000실(36%)이 남아도는 셈이다. 여기에 신규 호텔과 콘도 등이 속속 들어설 예정이어서 갈수록 악재가 겹친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벼랑으로 내몰린 일부 숙박시설이 휴·폐업에 처하는가 하면 불법 영업이 활개치는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지난해만 해도 관광호텔과 일반숙박시설 36곳이 경영난으로 문을 닫은 데 이어 지난달에도 호텔 2곳이 폐업하고 휴양펜션 2곳 등이 휴업했다. 게다가 미분양 주택 등을 이용한 불법 숙박업까지 가세해 넉달 새 24곳이 적발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 제주도가 출혈경쟁에 쫓기는 숙박업계 관리대책에 나선 건 늦었지만 잘한 일이다. 특히 민관 합동의 상생협의체가 실질 효과를 거둘지 주목된다. 작금의 문제는 객실이 적정 수요를 넘어선다는 데 있다. 수익성 악화와 서비스 질 저하가 예고되는 대목이다. 자연 제주관광 이미지 실추가 우려되는 것이다.

이제 숙박업소가 우후죽순 생기면서 제살 깎아먹기식 경쟁이 불가피하다. 차제에 제주관광의 경쟁력을 위해서라도 제주형 숙박시설 관리체계가 도입돼야 한다. 노후 숙박시설의 업종 전환과 미착공·미준공 숙박시설의 처분 절차가 필요하다. 불법 숙박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단속 강화는 물론이다. 풍전등화의 위기에 놓인 숙박업계의 대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