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산불 유비무환 자세로 예방해야
한라산 산불 유비무환 자세로 예방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는 전국의 다른 지역에 비해 산불 발생이 적다. 최근 10년간의 추이를 보더라도 알 수 있다. 2012년 한라산 어리목코스 사제비동산에서 등산객의 담뱃불 취급 부주의로 추정되는 산불이 발생해 2㏊가량의 산림을 잿더미로 만들었다. 2013년 추자면 대서리의 산불은 0.5ha, 같은 해 제주시 월평동 산불은 1ha의 임야를 태우고 진화됐다.

이렇게 발생 자체가 적다 보니 산불에 대한 둔감증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산행 중에 담배를 피우거나, 담뱃불을 숲속으로 던지는 아찔한 행동은 이런 데서 나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와 상관없다”라는 무경계 의식은 큰 화마를 불러올 수 있다. 앞에 열거한 세 건의 산불 역시 자연발화가 아닌 인재(人災)인 실화로 추정되고 있다. 산불에서만큼은 사소한 것이 결코 사소한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대한민국의 명산인 한라산 내에서 무속행위가 집중 행해지는 것은 달갑지 않다. 여기에 동원된 양초와 성냥, 라이터 등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대형 산불로 이어지기 쉽다. 더욱이 최근 들어선 산세가 험할수록 기운도 강하고 기도 효과가 크다는 것을 믿고 더 깊이 들어가 의식용 촛불을 피우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불이 나기라도 하면 조기 발견과 진압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한라산에서 자연공원법 위반 행위가 빈번한 것도 문제다. 최근 5년간 통계를 보면 237건에 이르고 있다. 그 가운데 흡연(216건), 취사(12건), 야영(5건) 등은 언제든지 산불의 불씨가 될 수 있다. 극도로 건조하고 바람이 센 날에는 세계자연유산인 한라산을 순식간에 태워버릴 수 있다.

인력에 의한 단속 활동은 한계가 있다. 모두가 새벽이나 늦은 밤에 이뤄지는 상황이다. 무단출입이 잦은 곳과 무속인들이 선호하는 동선을 파악해 주요 장소에 감시 장비를 설치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돈이 드는 문제인 만큼 제주도가 적극적으로 예산 확보에 나서야 할 것이다. 한라산 지키기에는 유비무환(有備無患)의 자세가 필요하다. 화마는 방심한 곳을 노린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