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잃어버린 시대의 황폐함…영화 '러브리스'
사랑을 잃어버린 시대의 황폐함…영화 '러브리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한 소년이 죽은 나무들만 가득한 황량한 숲속을 걸어간다. 그 숲은 소년이 사는 차가운 세상과도 같다.

오는 18일 개봉하는 영화 '러브리스'는 한 소년의 실종을 통해 사랑이 사라진 세상을 논한다.

'리바이어던'(2014)을 연출한 러시아 출신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감독의 영화로, 70회 칸영화제에서 심사위원상을 받았다. 전작에서는 거대한 국가 권력과 이로 인한 개인의 시련을 다뤘다면 '러브리스'에서는 한 가정의 문제로 사회 전체의 상실감을 보여준다.'

제냐(마리아나 스피바크 분)와 보리스(알렉세이 로진) 부부는 더는 서로를 견딜 수 없어 이혼을 준비 중이다. 이들의 결혼 생활에는 분노와 좌절만이 남았다. 이미 각자 애인도 있다. 제냐는 20대 딸을 둔 나이든 남자를 만나고 보리스의 젊은 애인은 그의 아이를 배고 있다.

열두살인 아들 알로샤(마트베이 노비코프)는 이들의 새로운 시작에 걸림돌일 뿐이다. 어느 날 밤 제냐와 보리스는 알로샤를 서로에게 떠넘기려 언쟁을 벌이고, 이를 듣게 된 알로샤는 슬퍼하다 다음 날 사라진다. 뒤늦게 아들의 실종을 알게 된 부부는 아들을 찾아 나선다.'

영화는 어린아이 실종을 소재로 하는 영화에 대한 고정관념을 따르지 않는다. 아이를 절박하게 찾으며 그 과정에서 서로 의지하는 부모도, 몸값을 요구하는 유괴범도 없다. 부모는 아들의 실종을 알고 난 후에도 서로를 탓하기 바쁘다. 심지어 알로샤가 실종된 이후의 행방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되지 않는다.

차가움과 황량함이 영화를 지배한다. 눈보라가 계속 내리는 러시아의 긴 겨울 풍경은 쓸쓸함을 넘어서 서늘하다. 차가운 공기가 스크린 밖으로 나와 폐부를 찌른다. 사람들은 무표정하다. 아들이 사라진 상황에서도 제냐와 보리스에게서 절망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이 지하철에서, 엘리베이터에서 지나치는 수많은 사람의 표정도 무미건조하다. 경찰보다 알로샤를 적극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찾아 나서는 자원봉사자들에게서조차 감정을 읽기 힘들다. 자동차 경적과도 비슷한 배경음도 영화의 서늘함을 배가시킨다.'

알로샤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 폐건물은 사랑이 사라진 사회의 축소판이다. 뼈대는 그대로 남았지만 깨진 유리가 널렸고 곳곳에 더러운 물웅덩이가 있다. 그 어느 곳에도 희망은 없다.

사랑이 없는 상태는 후대로 대물림된다. 제냐 역시 사랑 없는 어머니로부터 시달리다 탈출 수단으로 보리스와 결혼했다. 그러면서 그는 "멍청해서 임신했다. 내가 원한 것이 아니었다. 정말 낳고 싶지 않았다"고 말한다. 보리스는 애인이 낳은 자신의 또 다른 아이에게도 관심이 없다.

각자의 새 연인들과 함께한다 해서 제냐와 보리스는 행복하지 않을 것이다. 사랑이 사라진 시대이기 때문이다.

TV 뉴스에 나오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한 내용 등은 이 영화를 러시아 정치 상황에 대한 비판으로도 읽을 여지를 준다. 다만 감독은 "영화에서 라디오나 TV 방송을 통해 러시아의 정치적 문제가 드러나긴 했지만, 그것은 그저 영화의 배경일 뿐이다"고 밝혔다. 마지막 장면에서 제냐가 가슴에 '러시아'가 크게 쓰인 운동복을 입고 러닝머신 위에서 달리는 장면이 상징적으로 다가온다. <연합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