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감귤 생존 방식 다시 짜야 한다
제주 감귤 생존 방식 다시 짜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 감귤의 총체적인 민낯이 드러났다. 지난해산 노지감귤 출하가 마무리되면서다. 가격이 좋은 시기에는 관심을 끌지 못했던 사안들이 가격 하락과 맞물려 농정당국과 농가의 이슈로 소환되는 형국이다.

그중에서도 ‘대과(大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2018년산 노지감귤 가격은 적정 생산(46만7600t)에도 불구하고 당초 기대치를 밑돌았다. 출하 초기 극조생의 호조가 이어지리라 희망했지만, 평균가격은 전년 산(10㎏당 1만8019원)보다 떨어진 1만6432원에 그쳤다. 2016년산(1만5087원)보다는 높다고는 하나 농가에 위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가격 하락에 대해선 행정과 농가의 분석이 대체로 일치한다. 대과(횡경 67~70㎜)가 원인이라는 것이다. 제주도감귤출하연합회도 대과가 전반적으로 가격을 끌어내렸다고 진단했다. 감귤 주산지인 남원읍이 지역구인 송영훈 도의원도 도정 질문을 통해 이와 유사한 의견을 제시했다.

진단이 있으면 처방이 나와야 한다. 대과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시장에서 격리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시장(市場)이 그렇게 원하고 있다. 지난해산 대과의 도매시장 출하가격은 10㎏당 5500원 이하로 떨어지기도 했다. 여기에 상자와 운송, 선별 비용과 수수료 등을 떼고 나니 농가에 175원이 돌아갔다. 가공용 수매가(180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극조생이 비상품 격리를 통해 부패과를 줄이자 시장이 호응했다는 점도 참조해야 한다.

송 의원의 지적처럼 당도 측정에 대한 객관성도 확보해야 한다. 소형측정기를 사용하다 보니 소비자의 신뢰를 잃고 있다는 것이다. 만감류에서도 이와 비슷한 지적이 있었다. 최근에 한 도매시장 관계자는 감귤산업 토론회에서 “비상품이 있고 검사필 미표기, 중량 및 개수 속이기가 제주에서 관행이 되고 있다”고 했다. 창피스러운 일이다. 다른 지역이 품질 관리에 있어 오히려 제주를 앞서고 있다는 말도 허투루 들어서 넘기지 말아야 한다. 제주 감귤의 생존 방식을 다시 짜야 할 때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