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잉 관광산업, 구조조정 외 대안 있나
과잉 관광산업, 구조조정 외 대안 있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관광의 주축인 숙박업과 여행사, 관광식당 등이 과잉공급되면서 수익성 악화로 벼랑 끝에 내몰리는 형국이다. 제주도가 민관 대책회의를 구성해 묘안을 짜내고 있지만 해결방안이 쉽지 않다. 우선 민박과 분양형호텔 등의 난립으로 숙박시설의 과잉공급은 심각한 상황이다. 현재 도내 숙박업소는 5233곳·7만2627실에 이른다. 이 중 관광숙박시설만 408곳으로 2010년 109곳에 비해 4배가량 늘었다.

반면 관광객은 2016년 1585만명에서 2017년 1475만명, 지난해 1433만명 등 2년 연속 감소세다. 1일 평균 제주 체류 관광객은 17만6000명으로 적정 객실 수는 4만6000실 내외다. 2만6000실(36%)이 남아도는 셈이다. 숙박업계가 휘청거릴 수밖에 없다. 올해만 관광숙박업 7군데, 유스호스텔 3군데, 일반숙박업 1군데, 농어촌민박 95군데 등이 폐업 또는 휴업 신고를 했다. 여기에 미분양 주택 등을 이용한 불법 숙박업까지 가세하는 실정이다.

공급과잉은 숙박업계만이 아니다. 여행사는 2010년 996곳에서 올 3월 2027곳, 관광식당은 2010년 40곳에서 올해 148곳으로 각각 2배, 3.7배쯤 증가했다. 제주 관광업계 전반이 경영부실 고비에 처하고 있다. 당국과 업계가 더 늦기 전에 자구책을 강구해야 할 까닭이다.

주지하다시피 관광업은 판도 변화가 빠른 업종이어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 업체 상당수가 영세한 규모여서 외부 리스크에 취약하고, 출혈경쟁에 따른 서비스 질 저하가 예고되는 대목이다. 이는 바로 제주관광 이미지 실추로 이어질 것이다.

작금의 제주 관광산업은 업종마다 연쇄 도산이 걱정될 정도로 절체절명의 상황이다. 위기에 처한 관광산업의 현실을 시장경제라는 논리로 그냥 방치할 때가 아니라는 얘기다. 필요하다면 신규 제한 등 무분별한 난립을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근본 처방은 제주 관광도 이제는 품질로 경쟁한다는 인식 전환과 함께 구조조정을 해나가는 길밖에 없지 않나 싶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