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겨진 기억, 기적 같은 얼굴
숨겨진 기억, 기적 같은 얼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오대혁, 시인·문화평론가

하늘로 돌아간 아버지의 얼굴. 꿈에서라도 얼굴을 보고 싶지만 모르는 얼굴을 어떻게 찾을까. 70세 아이가 아버지를 그리며 한 말이란다. 그날의 기억을 온전하게 갖지 못한 70의 아이는 어떻게 살았을까. 70년 전 12살이었던 한 여자아이는 “아아, 그때 나는 열두 살/ 동박굴 트멍으로/ 어멍 시체 찾으러 갈 때/ 가마니 짚에 말아/ 얼기설기 토롱해서/ 남의 밭에 묻고/ 불타는 집/ 고팡 가득한 곡식 보며/ 저건 꺼내서 무엇 하나/ 어멍도 죽고/ 나도 오늘 낼 죽을 목숨”(양성자, 「열두 살」)이라고 82세가 되어 그날을 그렸다. 그의 기억 속에서 어머니의 얼굴은 그의 삶을 지탱하는 부적이 되었다.

「섬의 얼굴」이라는 초상화 기획 전시가 ‘소네마리’에서 있었다. 제주 큰굿에서 4·3 유족들의 얼굴을 기록하던 서울내기 박선영 화가 중심으로 마이클 에반스(Michael Evans), 김준환, 박종호 씨 등이 유족들의 초상화를 그려 전시했다. 네 벽을 차지한 전시 작품들은 개성들이 넘쳤다. 4·3사건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그들은 유족들의 사진을 통해 그때의 기억을 불러오는 주술사가 되었다.

외국인인 마이클은 유족들의 얼굴에서 개성을 느끼지 못해 운동복에서 감정을 끄집어냈고, 한국화가인 김준환은 한지 위에서 안료가 번지거나 맺히면서 형상을 흐리거나 형성하는 방법을 통해 유족의 초상 너머의 모습을 표현해보려 했다. ‘잃어버린 마을’ 드로잉 시리즈를 작품화했던 박종호는 4·3 당시 불에 타 사라진 마을을 표현할 때 목탄을 재료로 했듯 유족의 초상화도 목탄 속에서 아름답게 슬픈 감정이 도드라졌다. 직접 만나 이야기를 나눈 기획자 박선영의 작품은 수채화의 투명함으로 말할 수 없는 세월을 담아냈는데, 밝고 경쾌한 팝아트의 느낌이었다. 과거의 기억을 불러들이는 주술사들의 손놀림은 결코 슬픔으로만 전달되지 않고 다양한 스타일로 경쾌하게 느껴지는 작품들도 만들어냈다.

애니메이션 「메모리즈」에서 등장인물 ‘타쿠’는 “옛날, 사람들은 아무에게도 말하고 싶지 않은 비밀이 있을 때 산에 올라가 나무에 구멍을 파고 그 구멍에 비밀을 속삭인 뒤 흙으로 막아버렸다. 그러면 비밀은 영원히 감추어졌다.”라고 독백한다. 되살아나는 고통스러운 기억을 구멍 속에 파묻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애써 잊으려 하면 그것은 ‘트라우마’가 되어 다시 그 고통의 기억 속으로 빨려들게 된다. 의도적 망각은 상처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그저 깊숙이 감추어 둘 뿐 언젠가는 생생하게 되살아난다.

화가 박선영은 4·3유족들의 사진을 찍고 초상화를 그리면서 ‘기적 같은 얼굴’을 발견했다고 했다. 학살의 비극, 가난의 굴레, 타인들의 불편한 시선들 속에서도 짓이겨지지 않은 기적과 같은 생을 살아온 얼굴. 무고하게 희생된 4·3의 원혼들이 길러낸 기적 같은 얼굴이 사진 속에, 그림 속에 존재했다는 것이다.

삶은 지속되며, 기억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을 살려면 진실이 드러나야 한다. 왜곡된 기억은 더 큰 고통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어느 유족이 남긴 “잊지 않고 명심해영 잘 살크매, 거기서 편히 쉬십서.”라는 말이 떠오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