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공항·2공항 수요 배분 고심
기존 공항·2공항 수요 배분 고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2공항 용역 무엇을 담았나
2055년 항공 수요 4109만명 기준 3개안 제시돼
이주대책·배후도시 조성 등 의견 수렴 계속키로
6월 용역 마무리 후 10월께 기본계획 고시 예정
활주로 배치 대안 선정 관련 검토안 5가지.
활주로 배치 대안 선정 관련 검토안 5가지.

제주 제2공항 기본 계획 수립 용역진(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이 오는 2055년 기준 항공수요를 4109만명으로 예측했다.

교통시설 투자평가지침등에 따라 인구와 GRDP(지역내총생산) 변수를 이용해 패널회귀 모형을 통해 수요를 예측한 결과 국내 3796만명, 국제 313만명으로 제시됐다.

예측수요 4109만명의 제주 항공수요 배분을 위해 3가지 대안이 검토되고 있다.

대안1은 현 제주공항 FSC(메이저항공사, 국제·국내선)LCC(저비용항공사) 일부, 2공항은 LCC특화+외항사 방안이다. 대안2는 제주공항은 항공사별(그룹A FSC+LCC)+외항사, 2공항은 항공사별(그룹B FSC+LCC) 방안이다.

이와 함께 대안3은 제주공항 LCC(국제+국내), 2공항 FSC(국제+국내)+외항사로 분담하는 방안이다. 용역진은 향후 이용자와 항공사, 운영자 의견 등을 수렴해 최적 대안을 선정할 방침이다.

사전·예비타당성 조사에서는 제주공항 국내선 50%, 2공항 국내선 50%·국제선 전체 방안이 제시됐었다.

활주로 시설배치 계획의 경우 사타 등에서 제시한 원안을 포함해 총 6개 안이 검토되고 있다. 대안에 따라 소음가구수와 사업비, 절대보존지구 저촉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용역진이 소음과 편입가구, 환경성, 사업비 등을 고려할 때 원안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다만 제주공항과의 역할 분담 및 시설배치 계획 등에 따라 변동 가능성은 남아있다.

사전·예비타당성 원안대로 결정된다면 절대보존지역 저촉을 비롯해 진입표면에 저촉되는 장애물(오름)이 없다는 게 용역진의 설명이며, 소음 가구 수는 1931가구, 사업비는 48700억원이 예상된다.

편입 가구와 주변 지장물 등 위치도.
편입 가구와 주변 지장물 등 위치도.

터미널의 경우 최첨단 스마트 공항 제주의 자연을 담은 공항 친환경 공항 지역주민을 위한 편의시설 제공 등을 계획하고 있다.

용역진은 현 제주공항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해외 우수사례 벤치마킹을 통해 의료·복지·문화·상업 시설 등 공유를 통한 지역 주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주민상생의 경우 토지보상법과 공항소음방지법 등 관계법령을 검토하고, 추가 필요사항은 지역주민의견을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이주대책을 비롯해 배추도시 조성, 광역교통체계 및 기반시설 지원, 주민 소득창출 지원 등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향후에도 의견 수렴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인천국제공항을 비롯해 평택 미군기지 보상사례 등을 조사하고 있으며, 제주도 차원의 주민 지원 방안도 마련 중이다.

국토부는 공항 편입·주변지역 주민의 상실감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향후 지역에서 제시하는 의견은 적극 검토하고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또 검토위원회에서 논의된 사항을 검토한 후 기본계획 내용에 반영해 오는 6월까지 기본계획 용역을 마무리하고, 올해 10월에는 지역 의견 수렴, 관계기관 협의 등을 거쳐 기본계획을 고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제주도에서는 공항운영 수익이 지역주민과 도민에게 환원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공항배후도시 조성과 공항개발의 이익 공유 지원체계 마련 등을 위해 제주지역 공항운영권 참여 방안’, ‘2공항 연계 도민이익 및 상생발전 기본계획 수립2개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