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비도 못 건지는 월동채소의 실상
생산비도 못 건지는 월동채소의 실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월동채소 수확기만 되면 농가의 한탄이 들리는 게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농사를 지어 봐야 남는 게 없기 때문이다. 최근 제주도가 2018년산 월동채소의 경영소득을 분석해 보니 그 실상이 뚜렷이 드러났다. 월동무를 15㎏ 단위로 출하할 경우 가락시장 평균 경락가격은 6546원에 머물렀다. 생산비(4020원)와 유통비(3225원)를 감안하면 손익분기점(7245원)에도 못 미쳐 외려 699원의 적자를 본 셈이다.

양배추 역시 8㎏들이 평균 경락가는 3054원이었지만 생산비(2120원)와 유통비(1150원)를 포함한 손익분기점(3270원)에 이르지 못했다. 생산원가보다 216원이나 적었다. 결국 농가 입장에선 팔면 팔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다. 이러니 농심마다 속이 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로 볼 때 우리 농업의 현실은 한마디로 생존 자체가 힘든 상황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농사를 짓고 살아가기가 어렵다는 얘기다. 해마다 작물만 다를 뿐 과잉생산으로 가격파동이 빚어지는 탓이다. 여기에 농산물 수입개방도 가세하고 있다. 과잉공급 현상이 가격폭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그때마다 농촌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곤 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농촌에선 밭에서 농작물을 갈아엎는 일이 해마다 벌어지고 있다. 지난 겨울에도 제주의 대표적인 월동채소인 무와 양배추가 그 신세다. 이에 제주도는 피해를 본 농가에 대해 물류비 보전 명목으로 사업비 29억원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허나 농가 어려움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일 뿐 아니라 산지폐기에 이은 단기 처방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결국 농산물 수익을 위해선 재배면적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본다. 정확한 재배의향 조사와 계약재배 등이 선행돼야 이 문제를 풀 수 있다. 또 농협 등이 주축이 돼 출하시기를 조절하고 직거래를 확대해야 한다. 여기에 농산물 최저가보장제를 지원하는 국비 시책도 서둘러 도입해야 할 때다. 이런 노력들이 선결돼야 농민도 살고 소비자에게 득이 될 수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