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분별한 이용'에 지하수 보전 방안 절실
'무분별한 이용'에 지하수 보전 방안 절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元 지사, 수자원 데이터 통합 관리…중장기 과제 요구
원희룡 도지사가 14일 열린 주간정책 조정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원희룡 도지사가 14일 열린 주간정책 조정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지하수를 무분별하게 허가·사용하면서 갈수기에 물 부족 문제를 부채질하고 있다.

14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도내 지하수 관정은 4757개로 1일 적정 사용량(지속이용 가능량)은 176만8000t이다.

현재 취수 허가량은 적정 사용량의 90%인 160만t에 이르고 있다. 지하수 허가 유형을 보면 농업용 89만6000t, 생활용 67만3000t, 공업용 2만6000t, 먹는 샘물 5000t 등으로 전체 수자원의 84%를 지하수로 이용하고 있다.

이 같은 지하수 ‘난개발’과 농업용수 사용량 증가로 대정지역은 적정 사용량이 9만2000t이지만 취수 허가량은 2.5배인 22만7000t에 달하고 있다. 한경지역도 적정 사용량은 6만5000t이지만 허가량은 2.4배인 15만9000t에 이르렀다.

최근 열린 지하수 수질개선 오염방지 최종 보고회에서 지하수의 오염원으로 화학비료, 가축분뇨, 생활용수가 원인으로 꼽힌 가운데 지하수 함양 지역에서 토지 이용별 농약 사용량과 가축사육 제한 지역 설정 등이 제시되기도 했다.

실례로 가축분뇨 무단 배출과 액비 살포로 제주시 한림수원지는 고도 정수 처리시실을 갖춰 하루에 공급하는 2만t의 상수원 중 1만t은 정수기처럼 여과해 보내고 있다. 나머지 1만t을 공급하는 지하수 관정은 사용을 못하면서 대체 수원지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액비 살포 지역을 중심으로 도내 7개 지역 14곳에 지하수 수질전용 측정망을 설치하기로 했다. 이 측정망은 실제 오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오염원을 배출한 원인자를 밝혀낼 수 있다.

도내 전역에는 100여 개의 수질 관측망을 운영하고 있지만, 대다수는 농업용 지하수 관정에 설치된 데다 관측정이 자주 변경돼 10년 이상 연속적인 측정자료를 보유하지 못한 상태다.

제주도 또 2023년까지 양돈분뇨 정화처리 비율을 70%까지 끌어올리고, 나머지 30%는 여과 및 정제를 거쳐 양돈장 세척수나 골프장 잔디 관리용수로 활용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분뇨 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처리수는 가뭄에 농업용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제주도는 현재 3곳의 양돈장에서 감압증류 및 역삼투압 방식으로 분뇨 찌꺼기를 완전히 분리해 악취를 없애고 수질을 개선하는 시범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14일 주간정책 조정회의에서 지속가능한 수자원 체계 구축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원 지사는 “제주의 청정함을 상징하는 지하수의 깨끗한 수질과 수량을 확보하는 것은 생명선을 지키는 일”이라며 “수자원 데이터를 통합해 축적하고, 지하수 보전에 따른 법정 계획과 중장기 과제를 설정해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