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적 선택 증가, 사회안전망 강화해야
극단적 선택 증가, 사회안전망 강화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지난해 한 해 제주지역에서 극단적 선택을 시도해 병원 응급실에 이송된 환자는 862명이다. 하루 평균 2.4명이 자해를 기도한 것이다. 실제 스스로 생을 마감한 도민도 최근 3년간 한 해 평균 157명에 이른다. 이틀 남짓에 한 명꼴로 자진해 목숨을 끊은 셈이다. 그만큼 삶이 불만족스러워 벼랑 끝에 몰린 도민들이 많다는 뜻이다.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주목할 건 극단적 선택을 하는 도민들이 몇 년 새 다시 늘고 있다는 점이다. 중앙자살예방센터가 자살 사망자 추이를 조사한 결과 제주지역은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한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을 보면 2013년 32.9명에서 2014년 27.2명, 2015년 24.5명, 2016년 24명으로 줄어들다가 2017년 26.7명으로 늘었다.

그렇다면 무엇이 이처럼 소중한 생명을 포기하게끔 하는 걸까. 제주도소방안전본부의 조사에선 자살충동 이유로 정신적 건강문제가 128명(15%)으로 가장 많았고 가족간 갈등(116명·14%), 친구와 반목(41명·5%) 순으로 지목됐다. 주로 심리적인 정서 문제가 대부분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자살 예방 대책이 어디에 초첨을 맞춰야 할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자살률이 이 시대의 삶이 살 만한 가치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척도라는 점을 감안하면 걱정이 적잖다. 자살 시도자들이 제대로 치료를 받을 수 환경과 여건이 미흡하다는 게 문제다. 정신질환 치료가 입원 중심이어서 당사자는 물론 가족조차 기피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정부와 시민사회가 나서 우리의 안전망에 허점이 무엇인지 잘 살펴봐야 한다는 얘기다.

자살은 그 자체로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지만 빈곤·우울 등의 요인에 의해 악화될 수 있기에 종합적으로 관리돼야 한다. 핀란드만 해도 1986년 국가 자살예방 프로젝트를 가동해 한때 10만명당 30명이던 자살률을 지금은 10명대로 끌어내렸다. 자살 시도 80%는 어떤 형태로든 신호를 보낸다고 한다. 면밀한 모니터링과 함께 다각적인 예방정책, 사회안전망이 필요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