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투성이 ‘제주말산업특구’의 실상
부실투성이 ‘제주말산업특구’의 실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2014년 제주가 국내 1호로 말산업특구로 지정되자 명실상부한 ‘말산업의 메카’로 거듭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했다. 하지만 중장기 계획에 따른 사업 추진체계가 상당수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제주도감사위원회는 지난해 8~9월 진행된 ‘말산업특구 사업 전반에 대한 감사’ 결과를 공개했다. 모두 11건의 위법·부당사례를 확인했다며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도감사위에 따르면 퇴역 경주마인 ‘더러브렛’종 고기가 식용으로 둔갑해 대거 유통된 것으로 확인됐다. 등외등급률이 68%로 제주마 1% 미만에 비해 큰 차이가 난다. 결국 마육 품질저하로 가격하락 문제를 일으켰다고 한다. 그런데도 소비자에게 정확한 식육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다. 특히 중장기 계획상 민간 중심의 말산업 육성을 주도할 말조합법인 설립이 중요한 일인데도 지난 5년간 추진조차 안됐다.

한라마의 혈통개량 및 관리도 엉망이었다. 자격 미달의 기관에 가축개량 업무를 맡긴 탓에 유사사업의 중복투자 등 비효율 문제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게다가 한국마사회로부터 징수하는 레저세의 일정액이 말산업 육성 분야에 쓰여야 하는데도 제주경마장 시설개선에 사용하도록 협약이 잘못 체결된 것도 확인됐다.

그 외 관광코스와 연계돼야 할 마로 10곳(102㎞)도 개인 또는 마을목장 내에 조성돼 형평성 문제를 낳는 등 여러 지적이 제기됐다. 이런 식이면 말산업의 메카로 발돋음은커녕 제주의 말산업이 외려 뒷걸음칠 수도 있다. 차제에 도감사위가 주문한 ‘제2차 중장기 진흥계획’의 충실한 준비와 실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제주가 말산업특구로 지정된 건 초지와 사육두수, 승마장 등 탄탄한 기반이 뒷받침됐다. 당시 제주도정과 정치권, 업계가 힘을 합쳐 일군 결실이다. 단순한 축산업에서 벗어나 화장품 등 가공업과 승마 등 관광레저업으로 파급되는 경제효과에 주목하는 것이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 이제라도 민·관·산 협력을 통해 치밀한 계획과 추진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