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겉도는 자전거 활성화 정책
여전히 겉도는 자전거 활성화 정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탄소 없는 섬’을 목표로 역점 추진 중인 자전거 활성화 정책이 여전히 겉돌고 있다고 한다. 보도에 따르면 2011년 이후 올해까지 제주시내에 배치한 공공자전거는 119대에 머문다. 그나마 이 중 현재 운영 가능한 것은 88대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훼손 상태가 심해 폐기 처분됐다. 이 같은 보급대수는 제주시민 5700명당 1대꼴로 서울시의 500명당 1대와 비교할 때 고작 10분의 1도 안 되는 열악한 수준이다.

뿐만이 아니다. 시내 곳곳에 마련된 자전거 거치대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폐자전거를 버리는 자전거폐차장으로 전락한 곳이 많다고 한다. 지난해 거치대에서 수거한 방치자전거만 800대가 넘는 실정이다. 이는 자전거 도난 또는 무단투기를 막기 위한 자전거등록제 역시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지 않다는 방증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자전거 정책의 기초가 되는 통계조사마저 아예 이뤄지지 않았다. 도 당국은 애초 0.8%의 자전거 교통분담률을 2020년까지 10%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1년도 안 남은 지금까지 관련 통계는 아예 없다. 올 자전거 정책 예산도 12억원에 머물러 시설물 관리에도 벅찬 수준이다. 모든 정책 방향이 뒷걸음질 하는 형국이다.

그로 볼 때 제주도의 자전거 친화 정책은 사실상 맥이 끊긴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는다. 무탄소 생태도시를 지향한다는 외침이 공허하다. 다른 지방 사례를 보면 순천시, 창원시 등이 자전거 이용이 활성화 된 도시다. 특히 수원시는 국내 처음으로 스마트폰과 결합한 무인 공유자전거를 도입해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다.

알다시피 자전거는 시민들의 이동 편의와 건강을 도모하는 착한 교통수단이다. 에너지 절감, 이산화탄소 감축 등 부수 효과도 적지 않다. 그런 면에서 우리도 선진도시의 시책을 적극 검토했으면 한다.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공공자전거들이 돌아다닐 수 있도록 접근성과 편의성을 고민해야 할 때다. 이를 위해선 합리적 수준의 재정 투자가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