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발자취 따라 ‘성큼’…길에서 탐라를 만나다
역사 발자취 따라 ‘성큼’…길에서 탐라를 만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탐라·고을·병담길 (1)프롤로그

탐라의 원류를 찾아 떠나는 역사·문화기행이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특별한 기행이 펼쳐지고 있다. 질토래비가 마련한 제주의 역사·문화 걷는 길이 그것이다. 지난해 창단해 짧은 기간이지만 역사적으로 의미가 깊은 곳을 찾아 길을 만들고, 도민과 함께 그 길을 걸어가고 있다. 지금까지 탐라·고을·병담길’, ‘동성(東城돌하르방길’, ‘서귀포의 비경과 비사를 찾아서’, ‘한수풀역사문화걷는길을 개장했고, 앞으로도 역사·문화의 길을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길 안내자라는 뜻의 제주어 질토래비’. 역사문화 여정의 길을 만들고, 후세대에도 이 길에 이를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창단된 이 단체가 개장한 길에서 펼쳐진 역사의 장면들을 소개한다. 편집자 주

제주목관아 건물 중 가장 다양한 역사문화를 간직한 관덕정 모습. 탐라·고을·병담길은 관덕정에서 출발해 다시 돌아오는 코스다.
제주목관아 건물 중 가장 다양한 역사문화를 간직한 관덕정 모습. 탐라·고을·병담길은 관덕정에서 출발해 다시 돌아오는 코스다.

질토래비가 개장한 탐라·고을·병담길은 한짓골 서쪽 원도심 안팎의 길을 말한다.

탐라는 제주의 옛 이름이고 기원전후로 1105년까지 실제로 존재했던 나라였다.

이 길에서 만나는 고인돌·제사유적·무근성 등은 탐라 형성기 전후의 유물유적이다.

또 이 길에서 듣는 한짓골, 이앗골, 병문골 등은 원도심을 에워싼 제주성 안팎의 동네 또는 길 이름이다.

영주 12경의 하나인 용연야범으로 상징되는 용연(취병담)과 용두암 그리고 한두기는 용담동()에 있는 명승지다.

탐라의 고을들을 지켰던 진서루인 서문과 정원루인 남문 그리고 성담, 수호신처럼 성을 지키며 선인들과 생사고락을 같이 한 돌하르방과 제주선인들을 훈학했던 향교 등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명칭으로 적합하다고 여겨, 탐라·고을·병담길이라 이름 지었다.

제주목관아 건물 중에서 가장 다양한 역사·문화를 간직하고 있다 여겨지는 관아는 관덕정이다.

이 길은 제주 역사·문화의 정수가 담긴 관덕정에서 출발해 다시 관덕정으로 돌아오는 길에서 만나는 주요 유물·유적들을 포함한 여정들이다.

탐라·고을·병담길이 품고 있는 제주역사·문화의 주요 유물유적들을 간단히 소개한다.

 

탐라·고을·병담길 여정 지도. 관덕정에서 출발, 다시 관덕정으로 돌아온다. 다음은 탐라·고을·병담길 코스. 관덕정 ➞ 영뒷골 ➞ 간옹 이익 적거터 ➞ 방삿길 ➞ 채수골 ➞ 사창터 ➞ 진서루 ➞ 무근성 ➞ 벽화거리 ➞ 풍운뇌우제단 ➞ 병문천 ➞ 선반내 ➞ 서자복 ➞ 용연 ➞ 마애명 공원 ➞ 현수교 ➞ 용천수 ➞ 한두기 ➞ 용두암 ➞ 제주사대부고 고인돌·할망당 ➞ 현무암 집담 ➞ 용연상류계곡 ➞ 제사유적 ➞ 포제단 ➞ 제주향교 ➞ 제주중학교 ➞ 서문한질➞성내교회➞이승훈 적거터 ➞ 칠성대 ➞ 향사당 ➞ 이아 ➞ 제주성담 ➞ 정원루 ➞한짓골 ➞ 칠성대 ➞ 박씨초가 ➞ 중앙성당 ➞ 책판고 골목 ➞ 관덕로 ➞ 성주청 ➞ 관덕정.
탐라·고을·병담길 여정 지도. 관덕정에서 출발, 다시 관덕정으로 돌아온다. 다음은 탐라·고을·병담길 코스. 관덕정 ➞ 영뒷골 ➞ 간옹 이익 적거터 ➞ 방삿길 ➞ 채수골 ➞ 사창터 ➞ 진서루 ➞ 무근성 ➞ 벽화거리 ➞ 풍운뇌우제단 ➞ 병문천 ➞ 선반내 ➞ 서자복 ➞ 용연 ➞ 마애명 공원 ➞ 현수교 ➞ 용천수 ➞ 한두기 ➞ 용두암 ➞ 제주사대부고 고인돌·할망당 ➞ 현무암 집담 ➞ 용연상류계곡 ➞ 제사유적 ➞ 포제단 ➞ 제주향교 ➞ 제주중학교 ➞ 서문한질➞성내교회➞이승훈 적거터 ➞ 칠성대 ➞ 향사당 ➞ 이아 ➞ 제주성담 ➞ 정원루 ➞한짓골 ➞ 칠성대 ➞ 박씨초가 ➞ 중앙성당 ➞ 책판고 골목 ➞ 관덕로 ➞ 성주청 ➞ 관덕정.

관덕정영뒷골간옹 이익 적거터=국가보물 32호인 관덕정은 조선시대 병사들의 무예 훈련장이었다.

그래서 관덕정 서쪽 골목으로 이어진 길을 영뒷골(營後洞)이라 부른다. 영뒷골에서 먼저 만나는 것은 간옹 이익의 적거터이다.

방삿길채수골사창터진서루=영뒷골은 곧 방삿길로, 탑동으로 이어진다. 방삿골은 사악한 것을 방어한다는 데서 비롯된 방사탑이 있었던 동네 이름이다.

골목을 돌면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제주에서 최고급의 요정·여관 지역과 고풍스럽고 아담한 골목이 나타나 우리를 과거의 오솔길로 안내한다. 이 좁은 골목은 채수골이라 불리는데, 서문한질에서 북으로 난 짧은 골목이다.

채수골 골목은 예전의 제주읍사무소와 제주시청이 들어섰던 곳으로 지금은 공용주차장으로 변한 이곳에는 조선시대 이곳은 목관아의 창고인 사창(司倉)이 있었다는 표지석이 놓여있다.

병문천선반내서자복=‘성 밖을 흐르는 내인 성밖내가 변해 선반내로 또는 선반(仙盤)내로 불려졌다고 하는 근방을 지나, 서자복이 있는 용화사란 절로 향한다.

서자복은 용암으로 조각된 석불(복신미륵), 서쪽 절에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제주도 민속문화재 제1호로 지정됐다.

용천수한두기용두암=용연소공원이 이어지는 이곳 일대에서 용연선상음악제가 매해 열리고 있다.

선상음악제 주 무대 주변에는 용천수가 나오는 우물이 복원돼 있다.

복원된 우물을 끼고서 서한두기와 용두암으로 길이 이어진다.

제주사대부고 고인돌·할망당역사문화정원=탐라·고을·병담길은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제주중학교와 협약을 맺어 학교 교정을 걷는 길이기도 하다.

제주사대부고 교정에는 지석묘(고인돌)와 할망당이 원형에 가깝게 보존돼 있다.

현무암 집담용연상류계곡제사유적=군데군데 박힌 현무암 돌담과 용연상류계곡을 지나 용한소공원으로 향한다.

이 곳은 제사유적으로 쓰였던 곳이나 그 흔한 안내판 하나 없다.

포제단제주향교제주중학교=용담1동에서는 경로회관 동쪽 향교 옆에 아담하게 ()제단을 차리고 마을제를 정기적으로 올리고 있다.

제주향교는 5차에 걸쳐 위치가 옮겨졌고, 1827년 지금의 위치로 옮겨서 오늘에 이른다.

제주중학교는 제주향교 터전에서 개설한 제주도 첫 사립 남자 중학교다.

서문한질성내교회이승훈 적거터칠성대향사당=향교를 나와 제주도 개신교의 발상지로 알려진, 현무암 건물이 퍽 인상적인 성내교회(이곳은 오래전 관아건물인 出身廳이 있었던 곳) 쪽으로 난 골목길로 접어든다.

성내교회 옆 골목으로 들어서면 1911년 마지막 유배인 이승훈 적거터를 알리는 표지석이 놓여있고, 지근거리에 있는 칠성대 하나가 우리를 반긴다.

적산가옥도 보이는 아담한 골목길을 바라보며 이내 향사당에 들어선다.

이앗골제주성담남문 정원루 터=관아에는 목사가, 이아에는 판관이 집무했다.

탐라순력도 제주전최(濟州殿最)에는 관아와 이아가 잘 그려져 있다.

관아는 복원된 반면 이아는 전혀 복원이 되지 않았다.

일제시대 이아 자리에 근대식 병원을 지었고, 해방 후 제주도립병원이, 제주대학병원이 차례로 이곳에 들어섰다.

이앗골을 지나 찾아간 성안길에서 숨겨진 성담을 찾으며 걷다보니 남문인 정원루 터임을 알리는 표지석이 나타나고 중앙로 너머로 제주성지가 보인다.

한짓골 칠성대박씨초가중앙성당=중앙로가 생기기 전 제주시에서 가장 번화한 길은 한짓골이라 불리는 이 지역이었다.

한길 동네 즉 중앙길 동네란 뜻인 한짓골은 제주의 원도심으로 제주의 역사문화가 깃든 주요한 거리다.

칠성대가 놓인 곳에서 서쪽 골목으로 들어서면 도심 속 초집인 박씨초가가 우리를 반긴다.

박씨초가 골목길을 나서고, 이아 동쪽으로 난 박석이 깔린 한질을 걷다 이내 제주 최초의 천주교당 터 위에 지어진 중앙성당으로 들어선다.

 


 

질토래비란?=‘질토래비길안내자라는 뜻을 지닌 순수한 제주어다. 사단법인인 질토래비는 20171228일 첫 회의를 시작으로 2018년 동서자복길, 칠성로, 돌하르방길을 답사하며 제주역사문화 보급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다음은 탐라·고을·병담길이다.

관덕정 영뒷골 간옹 이익 적거터 방삿길 채수골 사창터 진서루 무근성 벽화거리 풍운뇌우제단 병문천 선반내 서자복 용연 마애명 공원 현수교 용천수 한두기 용두암 제주사대부고 고인돌·할망당 현무암 집담 용연상류계곡 제사유적 포제단 제주향교 제주중학교 서문한질 성내교회 이승훈 적거터 칠성대 향사당 이아 제주성담 정원루 한짓골 칠성대 박씨초가 중앙성당 책판고 골목 관덕로 성주청 관덕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강동균 2019-07-03 08:41:40
나도 아들 데리고 꼭 같이 걸어보려고 했는데 피치못할 사정으로 갗이 하지를 못 했네요.
언젠가 꼭 걷고야 말거야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