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어멍은 돌밭 위의 순례자
우리 어멍은 돌밭 위의 순례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7)월정리 밭담길 진빌레(下)
한평생 섬을 등에 진 채 돌을 치우며 밭을 갈던 사람들
돌담·밭담이 이제는 축제와 걷기여행지가 돼 상처를 치유
낮고 휘고, 검고 긴 제주 돌담이 끝없이 이어진 월정리 밭담길 위에 바람난장 무대가 세워졌다. 제주의 자연과 문화, 역사, 삶의 애환까지 스며든 제주 돌담에서 노래하고, 춤추고, 시를 읊으며 그 의미를 새겼다.
낮고 휘고, 검고 긴 제주 돌담이 끝없이 이어진 월정리 밭담길 위에 바람난장 무대가 세워졌다. 제주의 자연과 문화, 역사, 삶의 애환까지 스며든 제주 돌담에서 노래하고, 춤추고, 시를 읊으며 그 의미를 새겼다.

돌 밭 위의 순례자, 그 이름은 제주인

길바닥에 온 몸을 내던지며 신을 만나는 이들- 지상 위 가장 느리고 간절한 걸음을 이어가는 이들, 바로 순례자다. 그리고 여기, 또 다른 이름의 순례자가 있다. 한평생 섬을 등에 지고 살아 온 제주 사람들. 온 종일 흙먼지 뒤집어쓰고 돌을 치우며 밭을 갈았다. 그들의 삶은 거칠고 팍팍했으며 가난하고 외로웠다. 고통이 커도 속죄하며 길 떠나는 순례자들처럼, 제주 사람들도 액운을 막고 가족의 복을 기원하며 돌밭 위의 삶에 순응했다. 떠나고 싶어도 떠날 수 없고, 도망쳤다가도 돌아올 수밖에 없는, ‘출륙 금지령으로 눌러앉은 삶이었고, 영혼과 육신이 섬에 가두어진 삶이었다. 김정희와 시놀이팀의 시낭송 흑룡만리가 섬을 울린다.

 

‘누군가 그리워 만 리 돌담을 쌓고/참아도 쉬 터지는 이 봄날 아지랑이 같은//…//섬에 가두어진 게 어디 우마뿐이랴//.’ 김정희와 시놀이가 홍성운 작가의 시 ‘흑룡만리’를 읊는다. 시를 통해 순례자처럼 살아온 제주인의 삶을 돌아본다.
‘누군가 그리워 만 리 돌담을 쌓고/참아도 쉬 터지는 이 봄날 아지랑이 같은//…//섬에 가두어진 게 어디 우마뿐이랴//.’ 김정희와 시놀이가 홍성운 작가의 시 ‘흑룡만리’를 읊는다. 시를 통해 순례자처럼 살아온 제주인의 삶을 돌아본다.
누군가 그리워 만 리 돌담을 쌓고
참아도 쉬 터지는 이 봄날 아지랑이 같은
울 할망 흘린 오름에
눈물이 괸 들꽃들
 
차마 섬을 두고 하늘 오르지 못한다
그 옛날 불씨 지펴 내 몸 빚던 손길들
목 맑은 휘파람새가
톱아보며 호명하는
 
비가 오든 눈이 오든 한뎃잠을 자야 한다
그래서 일출봉에 마음은 가 있지만
방목된 저녁노을이
시린 발을 당긴다
 
섬에 가두어진 게 어디 우마뿐이랴
중산간의 잣성도, 낙인된 봉분들도
먼 왕조 출륙금지령으로
그렇게 눌러앉았다
-홍성운 흑룡만리전문
 
 
제주인이 쌓아올린 돌담은 바람 많은 섬에서 제주의 농사를 도왔고 삶을 버티게 해줬다. 무용가 박소연님이 돌밭 위 고통은 환희로, 좌절은 희망으로 승화시킨 춤사위를 펼친다.
제주인이 쌓아올린 돌담은 바람 많은 섬에서 제주의 농사를 도왔고 삶을 버티게 해줬다. 무용가 박소연님이 돌밭 위 고통은 환희로, 좌절은 희망으로 승화시킨 춤사위를 펼친다.

낮고 휘고, 검고 긴 제주 돌담. 섬에 내려앉은 모습이 마치 흑룡을 닮았다 하여, 그 길이가 가늠할 수 없을 만큼 길다 하여, 제주에서는 돌담을 흑룡만리라 부른다. 한 줄로 위태롭게 서 있지만, 쉽게 넘어지지 않는다. 강한 태풍에 콘크리트 벽은 무너져도 제주 돌담은 끄떡도 않는다. 그것은 기공이 많은 현무암 그 자체의 비결도 있지만, 돌과 돌을 얼기설기 쌓아 바람이 지나가는 길을 만든 제주 사람들의 지혜 덕이 크다. 그렇게 쌓아올린 돌담은 바람 많은 섬에서 제주의 농사를 도왔고 삶을 버티게 해줬다. 돌밭 위의 고통은 환희로, 좌절은 희망으로 승화시킨, 무용가 박소연님의 춤사위다.

제주의 자연과 문화, 역사는 물론 삶의 애환까지 스며있는 제주 돌담. 그러나 돌담이 서 있던 해안가마다 크고 화려한 휴양펜션이 들어서고, 외지인들이 사들인 땅엔 관리되지 않은 밭 옆 황량한 표정으로 남아있는 돌담도 많다. 세월에 밀려 사라지고 잊혀지는 제주 돌담의 슬픈 현실. 다행인 것은 제주도가 사유지들을 사들여 개발로부터 밭담을 지켜내고 있다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곳이 바람난장이 서 있는 이곳, 월정리 밭담길이다.

 

세월에 밀려 사라지고 잊히는 제주 돌담이 이제는 ‘제주밭담축제’, ‘밭담길 걷기여행’으로 새롭게 태어나고 있다. 김민경님이 제주 미래 희망인 밭담이 널리 알려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담아 아코디언을 연주한다.
세월에 밀려 사라지고 잊히는 제주 돌담이 이제는 ‘제주밭담축제’, ‘밭담길 걷기여행’으로 새롭게 태어나고 있다. 김민경님이 제주 미래 희망인 밭담이 널리 알려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담아 아코디언을 연주한다.

다시 희망이다. 돌담은 언제나 끊어지다 이어지길 반복하며 섬 땅을 누벼 왔다. 이제 더 이상 사라지고, 기억 속에 묻혀있기를 거부하며, ‘제주밭담축제밭담길 걷기여행으로 새롭게 태어나 사람들을 불러 모으고 있다. 그리고 언젠가 세상에 하나 뿐인 돌 길 위의 순례지가 되어 상처 받은 사람들을 위로하고 치유할 지도 모른다. 그 아름다운 날을 꿈꾸며, 음악을 만끽한다. 김민경님의 아코디언 연주 즐거운 나의 집’, 오현석님의 리코더 연주 아름다운 나라(신문희 곡)’. 곡의 제목처럼 제주에 살고 있다는 사실이 너무나 행복한 오늘이다.

 

오현석 님이 리코더로 ‘아름다운 나라’를 연주한다. 세상에 하나 뿐인 돌 길 위 순례지가 되어 상처 받은 사람들을 위로하고 치유하는 소리가 울려퍼진다.
오현석 님이 리코더로 ‘아름다운 나라’를 연주한다. 세상에 하나 뿐인 돌 길 위 순례지가 되어 상처 받은 사람들을 위로하고 치유하는 소리가 울려퍼진다.
사회=김정희
해설=강승진 박사
시낭송=김정희 이정아 이혜정
성악=윤경희
아코디언=김민경
리코더=오현석
무요=박소연
사진=허영숙
영상=김성수
음향=최현철
=김은정
후원=제주특별자치도, 제주, 제주메세나협회 등

13일 열리는 바람난장은 제주시 1100로 어리목광장에서 진행됩니다. 도민 누구나 바람난장 공연에 참여 가능합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