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평국 지속 연구·왜곡된 인물사진 바로 잡아야"
"강평국 지속 연구·왜곡된 인물사진 바로 잡아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천주교 제주교구3·1운동 100주년기념위원회
허영선 소장 "학계·언론·지역 지속적 관심 가져야"
박찬식 박사 "여수원 표지석 교회 차원서 세워야"
문창우 주교 "100년 역사 속 교회 성찰 통해 교훈 얻어야"
천주교 제주교구 3·1운동 100주년기념위원회가 지난 20일 ‘3·1운동과 제주여성’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열었다.
천주교 제주교구 3·1운동 100주년기념위원회가 지난 20일 ‘3·1운동과 제주여성’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열었다.

제주지역 여성 항일 운동가에 대한 제대로된 평가와 재조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3·1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쳤지만 서훈을 받지 못한 강평국에 대한 지속적 연구 조사가 추진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천주교 제주교구 3·1운동 100주년기념위원회가 지난 20‘3·1운동과 제주여성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에서 패널로 참석한 허영선 제주4·3연구소장이 이같이 말했다.

이날 허 소장은 여성사로 본 제주의 3·1운동을 주제로 발표했다.

허 소장은 항일운동과 여권운동 교육에 몸 바쳐온 강평국을 기념하는 움직임이 오래도록 없었다그는 짧은 생과 해외유학, 독신의 삶 등으로 인해 다른 독립운동가들처럼 고증할만한 기록이 없고, 최정숙·고수선처럼 공적 자료가 없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영선 소장에 따르면 지금까지 알려진 강평국에 대한 자료는 제자나 조카 등의 교차 증언을 토대로 마련됐다. 독신으로 살며 33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 직계 가족이 없기 때문이다. 3·1만세운동 1차 시위 때 일본 경찰에 붙잡히지 않았고, 2차 시위 때는 붙잡혔지만 수감생활을 하지 않고 빨리 풀려나 기록이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허 소장은 학계, 언론, 지역의 지속적 관심이 필요하다특히 강평국이 아닌 인물의 얼굴을 사용해 출판물, 전시장, 뉴스 등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보다 세밀한 조사를 통해 바로 잡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이날 박찬식 역사학 박사는 ‘3·1운동 100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과제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강평국과 최정숙이 1921년 여수원이라는 근대 여학교를 설립했는데 표지석 조차 남아있지 않아 잊히고 있다직접적으로 천주교계와 연관은 없지만 신성여학교의 맥을 잇는 것이기 때문에 천주교 제주교구 차원에서 여수원에 대한 자료 조사와 표지석 설치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제주교회는 3·1운동 100주년기념위원회 조직 운영의 경험을 계승해 상설 제주교회사 연구조직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에 앞서 제주교구 부교구장 문창우 주교는 ‘3·1운동과 한국교회의 발자취 그리고 성찰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100년 역사 속 천주교의 삶의 모습과 선택에 대해 성찰하는 이유는 교회가 어떤 선택을 하고 삶을 살아내야 하는지에 대한 교훈은 얻고자 함일 것이다오늘날 한국천주교회가 신자유주의 개발지상주의 거대자본 물질만능주의에 편승해 그들의 편에서 그들과 함께 하면서 심각한 무한경쟁 속으로 태생적으로 약하고 부족한 사람들이 결국엔 소외돼 새로운 차원의 식민으로 가난을 견디어야 하는 이들의 외침에 귀를 막으려 하고 있지는 않은지 성찰해 보아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