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의 밤, 어머니의 자장가는 어디에···
불면의 밤, 어머니의 자장가는 어디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11)한림읍 협재리 돌빛나예술학교(上)
태풍 영향으로 동굴 무대서 실내로···바람난장 등 객석은 만원
거세진 빗줄기, 흐르는 빗물 위로 우리의 전통가락이 흐른다
거세지는 빗줄기, 휘몰아치는 바람 사이로 전통가락이 흘러내리고, 장은 무용가가 진도북춤을 들고 나와 음악에 맞춰 춤을 췄다. 한 여름 풍류가 시가 되고 가락이 되면서 전통춤은 우리를 시간 저편으로 실어 나른다.
거세지는 빗줄기, 휘몰아치는 바람 사이로 전통가락이 흘러내리고, 장은 무용가가 진도북춤을 들고 나와 음악에 맞춰 춤을 췄다. 한 여름 풍류가 시가 되고 가락이 되면서 전통춤은 우리를 시간 저편으로 실어 나른다.

불면의 밤, 당신의 시와 춤은 따듯한 자장가다

불면(不眠)의 밤을 아는가. 눈을 붙여도 잠이 오지 않는, 자꾸만 뒤척이는 그런 밤. 집요하게 비집고 들어오는 잡념에 허우적거리는, 비자발적인 불면증. 가끔 상상을 한다. 깊은 잠은 어떤 맛일까. 현실과 완벽히 차단된 꿈속을 다녀오는 기분은 어떤 느낌일까. 내일도 글피도 불면의 밤이겠지. 밤새 날 것의 불안과 공포를 느끼며 겨우 마주한 새벽은 너덜너덜, 창백하다. 마치 빛 한 줌 들어오지 않는 동굴을 다녀온 기분이랄까. ‘동굴이 몸 안으로 들어온다’, ‘발을 뻗으면 어둠의 뒤편, 허공에 새겨 넣은 그림자가 만져진다 (김효선 동굴의 역사중에서)’처럼. 영혼은 없고 껍데기만 남게 되는, 온 몸에 동굴의 무늬를 새기는 뜨거운 고통의 시간이다.

그러나 동굴이라는 물리적 공간. 지하에 비밀스럽게 숨어있는 공간이다. 암흑과 침묵의 세계다. 시간을 거슬러 들어가보면 억겁의 시간이 벽을 타고 흐르며 뻗어나간, 감히 인간이 상상할 수 없는 시·공간을 초월하며 이룩한 세계를 만난다. 누군가에겐 칠흑 같은 어둠이 보이지 않는 불안한 내일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빠져나오기 힘든 검고 긴 터널 같은 동굴의 삶이 여기 있다.‘산비탈 동굴에서/한 석 달 꿈도 없는 겨울잠을 자야만 하는 이들,‘서울역 깊은 동굴 거대한 방 한 귀퉁이/신문지에 둘둘 말린 잠을 청해야 하는 이들. 길 위의 노숙(露宿)은 얼마나 처절하고 처연한 잠인가. 연극인 강상훈 님의 낭송이다. 담담하다 못해 사실적인 목소리. 노숙의 현실이 치밀하게 살아난다.

 

강상훈 연극인이 강현덕 시인의 시 '동굴에서의 잠'을 낭송한다. 담담하면서도 사실적인 목소리로 칠흑 같은 어둠이 내린 삶을 동굴에 비유해 처절하고 처연한 모습들을 떠올리게 한다.
강상훈 연극인이 강현덕 시인의 시 '동굴에서의 잠'을 낭송한다. 담담하면서도 사실적인 목소리로 칠흑 같은 어둠이 내린 삶을 동굴에 비유해 처절하고 처연한 모습들을 떠올리게 한다.
동남쪽 바라다 뵈는 산비탈 동굴에서
한 석 달 꿈도 없는 겨울잠 자고 싶다
동굴은 너무 깊어서
몇 번이나 구부러지고
 
눈 먼 딱정벌레 투명한 잔등 위로
멋모르고 굴러온 가랑잎 잘 마른 온기
겨울은 동굴 밖 이야기
내 잠도 구부러지고
 
잡목 숲 지나다닐 때 긁히고 찢긴 상처
찬바람에 덧나서
터져버린 나의 겨울
입춘이 되기도 전에
새살 올라 환할 테지
 
서울역 깊은 동굴 거대한 방 한 귀퉁이
신문지에 둘둘 말린 잠들이 모여 있다
그 위를 더듬거리는
딱정벌레 몇 마리도
-강현덕 동굴에서의 잠전문

시낭송으로 문을 연 바람난장. 오늘의 무대는 협재에 자리 잡은 돌빛나예술학교 강당이다. 당초 우리동네관악제 참여 연주자들과 함께 돌빛나예술학교의 동굴 무대에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태풍의 영향으로 실내로 옮겨졌다. 모처럼 큰 비였다. 그럼에도 객석은 만원이다. 국제관악제 스텝과 연주자들, 바람난장과 관객들까지 총 100명을 훌쩍 넘는 인원이 강당 안에 모였다. 덥고 습하고 먼 길 오느라 지쳤을 터. 그러나 피로감을 잊게 만드는 청량한 목소리. 사회자로 나선 연극인 정민자 님이다. 해마다 국제관악제로 들썩이는 제주의 여름을 소개하며, 관악제 연주팀들과 함께 바람난장 무대를 장식하게 된 소감을 전했다.

 

정민자 연극인이 사회자로 나섰다. 24년 동안 한결같이 열렸던 제주국제관악제를 소개하고, 관악으로 물드는 제주섬을 관객들에게 알렸다. 그는 관악제 참여 연주단과 함께 바람난장 무대를 장식하게 된 소감도 전했다.
정민자 연극인이 사회자로 나섰다. 24년 동안 한결같이 열렸던 제주국제관악제를 소개하고, 관악으로 물드는 제주섬을 관객들에게 알렸다. 그는 관악제 참여 연주단과 함께 바람난장 무대를 장식하게 된 소감도 전했다.

빗줄기가 거세진다. 바람이 불고 흐르는 빗물 위로 우리의 전통가락이 흐른다. 진도북춤을 들고 나온 무용가 장은 님이다. 보름달 아래서 춤을 추며 무더위를 달랬을 선조들의 모습이 아마 이러하지 않았을까. 한 여름의 풍류가 시가 되고 가락이 되는 순간이다. 그렇게 춤은 한 시절이 되어 우리를 시간 저편으로 실어 나른다.

토닥토닥 어릴 적 나를 잠들게 하던 따사로운 목소리를 기억한다. 어른이 돼서 다시 듣고 싶은 자장가는 노래가 아니어도, 가락이 아니어도 좋다. 나를 편하게 잠재울 수 있는 따뜻한 한 편의 이야기면 된다. 세상의 모든 불면의 밤을 덮어줄 그 행복한 이야기가 지금 내 눈 앞에 펼쳐지고 있다.

 

바람난장 문화패가 지난 11일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 소재 돌빛나예술학교 강당에서 무대를 펼쳤다. 우리동네관악제 참여 연주자들과 관객이 어우러진 곳에서 춤을 추고 시를 낭송하며 참관객 모두와 하나가 됐다.
바람난장 문화패가 지난 11일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 소재 돌빛나예술학교 강당에서 무대를 펼쳤다. 우리동네관악제 참여 연주자들과 관객이 어우러진 곳에서 춤을 추고 시를 낭송하며 참관객 모두와 하나가 됐다.
사회=정민자
시낭송=정민자·강상훈
성악=김지선
반주=김정숙
무용=장은
사진=허영숙
영상=김성수
음향=최현철
현장감독=김명수
=김은정
후원=제주특별자치도·제주·제주메세나협회 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