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 위협하는 중산간 오수처리시설
지하수 위협하는 중산간 오수처리시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중산간 일대의 개인오수처리시설에 대한 관리 실태를 보면 참으로 걱정스럽다. 수질기준을 넘긴 오수를 배출하는 곳이 상당수지만 인력부족으로 관리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는 탓이다. 그제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이 내놓은 연구자료는 지하수 오염에 대한 위기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 표본조사한 많은 곳이 정화되지 않은 오수를 지하로 흘려보내고 있다는 것이다.

조사 결과 도내 개인오수처리시설은 모두 1만21군데에 달했다. 이 중 23%(2254곳)가 지하수 함량지대인 중산간에 설치된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연구원이 여러 해 동안 785곳을 추려 방류수를 점검해 보니 기준치를 초과한 곳이 26%(202곳)나 됐다. 4곳 중 1곳꼴이다. 특히 지난해 점검에선 130곳 중 40%(52곳)가 수질기준을 넘겨 부적합률이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는 애월읍에 이어 조천읍, 한림읍 순으로 질소부하량이 높게 나타나 이 지역 지하수 상태를 가늠케 한다. 사정이 이런데도 담당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개인오수시설 점검률이 저조하다는 게 문제다. 전체 오수시설의 68%가 몰린 제주시만 해도 1명이 고작이다. 이로 볼 때 모든 오수시설을 일제 점검할 경우 그 결과가 어떨지는 짐작하고도 남는다.

중산간 지역의 오수 발생량은 1일 4만t을 웃돈다고 한다. 도두하수처리장 시설용량(13만t)의 30% 수준이다. 지하침투식 공법에도 상당수가 정상 가동되지 않는다니 아찔하다. 어쩌면 이 같은 관리부실 문제가 지하수 오염에 대한 파장을 부른 축산폐수보다 더 심각할지도 모른다. 철저한 관리감독 등 적절한 조치가 시급하다.

사실 지하수 오염원이 도처에 산재한다. 골프장 농약이 그렇고 축산분뇨 문제도 만만치 않다. 거기에 중산간 생활오수가 관리 사각지대로 드러난 건 보통 문제가 아니다. 무엇보다 오수시설 점검 기준을 엄격히 해 반드시 실행에 옮겨야 한다. 다른 지자체의 사례처럼 민간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공공하수도를 연결하는 게 최상의 해법일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