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업 저성장 구조 ‘고착화’ 대책 절실
제주 농업 저성장 구조 ‘고착화’ 대책 절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도의회 정책연구실 좌담회 개최…농가 소득 안정화 우선 필요
당근을 수확하는 농민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당근을 수확하는 농민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제주지역 경제를 지탱해 온 농업이 저성장의 침체로 빠져들면서 농가 소득의 안정화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정책연구실이 21일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도민 체감형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위한 좌담회에선 농업의 저성장 구조 고착화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전국보다 낮은 농가수지, 농업생산성 저하, 농촌 인구 고령화, 기후 변화 등은 제주 농업의 악재가 되고 있다.

지난해 제주지역 농가소득은 4863만원으로 전년 5292만원보다 429만원(8.1%) 감소했다. 반면 농가부채는 7458만원으로 전년도 6523만원에서 935만원(14.3%)이 증가했다.

더구나 농사를 짓기 위한 인건비와 비료대 등 농업경영비는 지난해 4265만원으로 전국 평균2153만원에 비해 2.1배나 높았다.

이날 좌담회에선 농가 소득 안정화를 위해 ▲농산물 가격 안정 ▲밭작물 자조금 사업 강화 ▲제주형 밭작물 관측시스템 구축 등 크게 세 가지 대책이 제시됐다.

우선 제주산 농산물이 제 값을 받기 위해선 브랜드화를 통해 온라인과 홈쇼핑에 통합 홍보와 광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고기능성 농산물을 로컬푸드와 연계하는 대안이 제시됐다.

밭작물 자조금 사업은 행정이 아닌 생산단체가 자율적 수급 조절에 나서야 하고, 경작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현재 당근에만 적용되는 자율 수급을 전 월동채소로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제주형 밭작물 관측시스템은 경쟁지역의 농산물 생산량과 가격 예측이 가능한 예상 생산량과 재고량 등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갖출 필요성이 요구됐다.

이 외에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농업 분야에도 스마트 농기계와 농촌 재생에너지 보급, 공유경제 활성화, 치유·휴양 산업을 연계한 융복합 농업 산업 육성 등이 제시됐다.

도의회 정책연구실은 최근 지가 상승으로 농가의 세금 부담은 커진 반면, 농업생산성은 저하돼 농업의 저성장 구조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1차 산업에서 획기적이고 특단적인 대책 마련과 농가의 자구 노력이 없이는 농가소득은 정체되거나 되레 감소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