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유족회, 4.3문제 해결 국제사회에 촉구
4.3유족회, 4.3문제 해결 국제사회에 촉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스위스에서 열린 제42차 유엔인권이사회서 토론회 및 집회 진행
제주4·3희생자유족회 회원들이 지난 11~13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42차 유엔인권이사회에서 거리 집회를 열었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 회원들이 지난 11~13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42차 유엔인권이사회에서 거리 집회를 열었다.

제주4·3의 문제 해결을 국제사회에 촉구하는 토론회와 집회가 열렸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회장 송승문) 국제연대포럼(위원장 오승익)은 지난 11~13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42차 유엔인권이사회에 참석, 토론회와 거리 집회를 열었다.

유엔인권이사회에서는 지난 3월 제주를 방문한 파비앙 살비올리 유엔 특별보고관이 4·3당시 인권 침해 피해자들을 효과적으로 구제하기 위한 한국의 배상프로그램 설치·이행을 촉구하기 위한 연례 보고서를 발표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백가윤 제주다크투어 대표는 “4·3피해자들은 50년 동안 침묵을 강요받았고 2000년이 되서야 국가차원의 조사를 위한 특별법이 제정됐지만, 이 법은 통합적이고 개인적인 배상·회복 프로그램이 없어서 정의도, 배상도, 회복도 없었다”고 말했다.

김종민 전 4·3중앙위 전문위원은 “4·3당시 양민 학살은 1948년 11월부터 약 4개월간 소위 초토화작전 때 일어났지만 대한민국 군대와 경찰에 대한 작전통제권은 여전히 미군이 갖고 있었다”며 “미국 정부는 4·3당시 이뤄진 무분별한 학살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하고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하며, 1947년부터 1954년까지 미군사고문단의 역할에 대한 공식적인 조사와 모든 자료를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 회원들이 지난 11~13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42차 유엔인권이사회에서 거리 집회를 열었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 회원들이 지난 11~13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42차 유엔인권이사회에서 거리 집회를 열었다.

증언에 나선 김춘보 4·3유족회 상임부회장은 “군경 토벌대에게 아버지를 일흔 후 ‘폭도 자식’이라는 말을 늘 의식하며 살아왔다”며 “아버지는 행방불명 돼 무덤이 없어서 벌초를 못하게 되니 그리운 마음이 사무치게 된다”고 밝혔다.

4·3사건은 1948년에 시작돼 7년 7개월 만인 1954년 9월에 종식됐다.

그 과정에서 제주도 인구의 10%인 3만여 명이 희생됐다. 희생자 중 33%는 어린이·노인·여성 등 사회적 약자였다. 중산간 마을의 95%는 불에 타 사라졌고, 9만 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4·3사건이 전개되는 동안 양민에 대한 고문과 성폭력, 학살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해 제주도민들의 인권은 철저히 짓밟히고 유린당했다. 일부 여성들은 가족을 지키기 위해 경찰 및 군인과 마음에 없는 강제 결혼을 선택하기도 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