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관련 링겔만 효과의 경고
아프리카돼지열병 관련 링겔만 효과의 경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김성만, 농협안성교육원 교수·팀장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ASF)의 확진, 그리고 의심판정이 늘어나면서 대한민국이 점점 들썩이고 있다. 돼지고기 도소매 시장은 손님들의 발길이 줄고, 이동중지명령, 전염 우려 등으로 돼지고기 공급이 줄면서 가격까지 오르고 있다.

이에 관련 업계와 기관 그리고 소비자까지 모두 걱정과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양돈농가는 방역과 관리 강화 등으로 어렵다. 양돈 관련 유통업계는 반입 돼지고기가 감소해 작업할 물량이 감소하고, 이에 도매가격은 오르는데 기존 거래처 납품 가격을 인상하지 못해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물량공급의 어려움도 상존하고, 가격이 올라 소비도 감소한다. 이에 전반적인 돼지 관련 산업이 위축되는 악순환이 지속될까 우려된다.

1913년 프랑스의 엔지니어 링겔만은 줄다리기 실험을 통해, 두 명이 끌 때 한 사람이 발휘하는 힘은 한 사람이 끌 때의 93%에 불과하고, 세 명은 85%, 여덟 명이 끌 때는 49%의 힘밖에 사용하지 않는다는 걸 발견하고, 링겔만 효과를 만들어 냈다. 즉, 어떤 집단에 속하는 구성원의 개인별 집단 공헌도가 집단 크기가 커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가리키는 말이다.

ASF는 전염이 빠르고 치사율이 매우 높은 돼지열병이다. 사람을 포함해 멧돼지과 이외의 동물은 감염되지 않지만,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양돈산업에 매우 큰 피해를 준다.

이에 추가 확산을 막고 상황을 조기에 종식하려면 국민이 힘을 뭉쳐야한다. 링겔만 효과를 협동의 순기능 효과로 이겨내야 할 때다.

온 국민이 인정하는 제주돼지, 그 산업의 부흥을 위해서도 절실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