끽다거(喫茶去), 차 한 잔 하게마씸!
끽다거(喫茶去), 차 한 잔 하게마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퇴허자, 광주대각사 주지·제주퇴허자명상원장

끽다거(喫茶去)는 본래 중국 조주(趙州)선사로부터 비롯된 화두(話頭)의 하나이다. 그는 그의 명성을 듣고 찾아오는 이들에게 ‘차 한 잔 하고 가게’라는 법담(法談)을 전했다고 한다.

원근 각처에서 자신의 무거운 삶의 애환을 가슴에 담고 찾아오는 사람들은 큰 스님에게서 가슴이 뻥 뚫리는 삶의 지혜를 얻고자 기대를 하였을 것인데 방문객들에게 한결같이 ‘끽다거(차 한 잔 하고 가게!)’로만 응수를 하니 얼마나 답답하고 실망스러웠을 것인가?

이에 참다못한 시자(侍者)가 “스님! 멀리서 오신 손님들이니 스님의 깨달음의 진리를 한 마디 해 주시지요.”라고 거들었다. 이때 조주 스님은 “응 그래? 너도 끽다거!”라고 말씀하셨다. 과연 무슨 뜻일까?

또한 조주선사는 무자(無字)화두로도 유명하다. 한 제자가 “스님, 부처님께서는 일체중생(一切衆生)이 실유불성(悉有佛性)이라 하여 생명이 있는 것이나 생명이 없는 것이나 모든 중생들은 부처님이 될 수 있는 불성(부처의 성품)이 있다고 하셨는데 개(犬)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라고 물었다. 그때 선사는 한 마디로 “무(無)!”라고 대답하였다.

제자는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아니 왜 그렇습니까?”라고 다시 물었다. 역시 이번에도 스님은 “무(無)!”라고 대답하였다. 왜 그랬을까? 불가(佛家)에 이러한 화두들은 자그마치 1700공안(公案)이나 된다. 특징적인 것은 모두가 다 물음(의문)만 있지 그것을 풀 수 있는 어떠한 해법이나 답안은 전해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과연 화두(話頭·말머리)란 무엇일까? 화두는 그 의미 그대로 ‘말 한 마디 나오기 이전의 상태’ 곧 ‘언전대기(言前大機)’를 일컫는다. 우리가 뭔가 행동직전에 한 생각이 있고 그 한 생각이 일어나기 전에 ‘본래면목(本來面目)’이라는 성품(性品)이 있는데 화두는 바로 이 성품자리를 뜻하는 것이다. 가령 마음이라는 ‘마음자리’는 본래 한 생각이 일어나기 전에는 구름 한 점 없는 맑은 하늘이요 호수요 거울 같은 것이었다. 이 마음에 괴로운 생각이 담기면 지옥이요 즐겁고 행복한 생각이 담기면 그것이 바로 극락(極樂)이다.

따라서 본래 텅 비어있는 그 마음자리가 무엇을 담느냐에 따라 지옥도 되고 극락도 만들어진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 하여 ‘모든 것은 마음먹기(한 생각 일으키기)에 달려있다.’라고 한 것이다.

어쩌면 우리 인생도 이처럼 괴롭다거나 즐겁다거나 하는 것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것일 수도 있다. 내 스스로가 한 생각에 끄달려(사로잡혀) 괴롭기도 하고 즐겁기도 한 것이 아닐까 한다. 지금 괴로워하는 사람은 자신의 마음그릇에 스스로 ‘괴로움(苦)’을 불러들인 것이요 즐겁고 행복한 사람은 역시 자신의 마음에 ‘즐거움(樂)’을 끌어들인 사람이다. 지금 당장 괴로움을 즐거움으로 바꾸기란 쉽지 않다. 그러므로 우선 무거운 짐(괴로움)을 먼저 내려놓은 다음 그 빈자리에 즐거움을 채우는 일이 현명하다. 먼저 마음그릇을 비우라.

따라서 ‘끽다거(喫茶去)’나 ‘무자(無字)’ 화두를 풀어내려고 애쓰지 말라. 모든 답은 질문자인 바로 나에게 있는 것, 내가 바로 답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