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장굴·용천동굴 유입 빗물 원인 규명
만장굴·용천동굴 유입 빗물 원인 규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도, 제주 지하 독특한 빗물 흐름 특성 확인
용암층 사이 점토질 따라 하천처럼 흘러
세계자연유산본부 조사 제주지하 빗물흐름 확인
지하로 스며든 빗물은 용암층 하부의 고토양층(적색)을 따라 하천처럼 흘러가다 동굴 내부 벽면에 유입된다. 유입된 빗물이 ‘벽면유출수’로 동굴 내부에 물이 차오르는 원인으로 조사됐다.
지하로 스며든 빗물은 용암층 하부의 고토양층(적색)을 따라 하천처럼 흘러가다 동굴 내부 벽면에 유입된다. 유입된 빗물이 ‘벽면유출수’로 동굴 내부에 물이 차오르는 원인으로 조사됐다.

집중호우가 발생할 때 만장굴과 용천동굴 내부에 물이 차오르는 원인이 규명됐다.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는 만장굴과 용천동굴 내 빗물 유입현상을 조사한 결과 제주 지하의 독특한 빗물 흐름 특성을 새롭게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세계유산본부는 최근 태풍 타파미탁의 영향으로 동굴 내부에 물이 차오르면서 관람이 불가능해지자 직접 조사에 나섰다.

조사 결과 동굴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은 동굴 천장에서 떨어지는 천장낙하수와 동굴벽면 틈으로 흘러드는 벽면유출수로 구분됐다.

특히 벽면유출수는 동굴의 특정 구간 한쪽 벽면에서만, 대량으로 흐르거나 뿜어져 나오는 것으로 조사됐다.

만장굴은 동굴입구에서 용암석주 방향으로 180~220m 구간 2, 480~770m 구간 12곳에서, 용천동굴은 동굴입구에서 용천호수 방향으로 610m 지점 1곳과 1030~1070m 구간 4곳의 벽면 오른쪽에서 다량의 벽면유출수가 관찰됐다.

이 벽면유출수는 빗물이 지하 용암층 사이에 분포하는 불투수성의 점토질 고토양층에 고여, 그 위를 따라 흐르다가 동굴 내부 벽면으로 유입되면서 대량으로 뿜어져 나오는 것으로 추정됐다.

유입된 이 빗물은 집중호우가 내린 뒤 이틀 이내로 양이 크게 줄어들고, 동굴 바닥에 고였던 물도 하루 이내에 수위가 낮아져 보행이 가능하게 된 것으로 조사됐다.

고길림 세계유산본부장은 이번 조사는 제주 지하로 흘러드는 빗물의 흐름 특징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수문지질학적 가치가 있다이번 연구와 연계해 빗물의 유입량, 흐름속도와 패턴 등 정량적 연구에서도 성과를 도출해 내겠다고 밝혔다.

김정은 기자 kje0317@jej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