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도심 4대 하천 최대 홍수량 견디지 못해
제주시 도심 4대 하천 최대 홍수량 견디지 못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지역 하천 통수량, 환경부 산정 100년 빈도 홍수량 수용 못 해
집중호우 시 물난리 되풀이 우려…폭 바닥 확장·제방 쌓기 등 기존 홍수 대책 보완 필요
2016년 10월 태풍 ‘차바’ 강타 시 제주시 용담동 한천 일대가 침수돼 차량이 쓸려간 모습.
2016년 10월 태풍 ‘차바’ 강타 시 제주시 용담동 한천 일대가 침수돼 차량이 쓸려간 모습.

제주시 도심을 관통하는 한천·병문천·산지천·독사천 등 4대 하천의 통수면적 한계로 앞으로 닥칠 ‘물폭탄’을 감당하기 어렵게 됐다. 향후 태풍 내습 시 피해가 되풀이될 전망이다.

6일 제주시에 따르면 최근 환경부로부터 받은 제주시지역 하천유역 홍수량 재산정 결과, 4대 하천 모두 저장용량이나 통수면적이 부족해 향후 100년 내에 닥칠 대규모 홍수 발생 시 물난리를 겪게 됐다.

제주시가 기존에 수립한 100년 빈도 홍수량은 1시간 당 강수량이 98.5㎜ 또는 1일 500㎜다. 하지만 2014년 8월 태풍 ‘나크리’ 내습 시 한라산에는 1일 강수량이 1182㎜를 기록, 100년 빈도 기준을 갱신한 바 있다.

환경부가 재산정 한 하류지점 기준, 한천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홍수량은 초당 499t이지만,100년 빈도 최대 홍수량은 이보다 67% 높은 832t으로 조사됐다.

병문천은 기존 초당 378t보다 30% 높은 491t을, 산지천은 기존 222t보다 19% 증가한 265t을, 독사천은 기존 126t보다 7% 높은 135t의 최대 홍수량이 발생할 것으로 환경부는 예측했다.

4대 하천 외에 봉개동 중산간의 대룡소천은 기존에 수립한 홍수량보다 161%나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광령천은 114%, 도근천은 102% 등 당초 책정된 홍수량을 모두 초과했다.

이처럼 홍수량의 초과로 기존에 설계된 하천의 홍수 방어 대책에 대한 보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하천 폭을 넓히거나 바닥을 더욱 깊게 파거나 제방을 쌓는 새로운 정비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도심 4대 하천변에는 주차장과 주택이 들어서면서 하천 폭 확대를 위한 사유지 매입에 막대한 예산과 주민 동의가 필요해 현실적으로 실현하기가 어렵게 됐다.

용암이 굳어져서 암반으로 이뤄진 하천 바닥을 파헤치는 것은 대규모 환경 훼손을 불러올 수 있고, 제방을 높게 쌓을 경우 경관 저해가 우려되고 있다.

제주시는 환경부의 홍수량 재산정 결과가 나옴에 따라 연말까지 하천정비 기본계획을 수립, 하천별 홍수 방어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제주시 관계자는 “홍수 방어 대책으로 하천 복개 구조물 철거, 하천 주변 저류지 조성, 하천 인근 홍수터(도심 습지) 설치 등 다양한 수해 예방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