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붕없는 미술관, 연홍도를 가다
지붕없는 미술관, 연홍도를 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인근 섬 출신 명사 그려 넣은 벽화 시선 끌어
산과 바다 어우러진 풍경은 한 폭의 동양화
감성 충만한 조형물 등은 인생사진 명소

지난달 중순, 취재차 찾은 고흥군 신양 선착장 주변은 평일인데도 수십 여대의 차량이 주차돼 있었다.

연홍도를 둘러보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온 관광객들의 자동차들인 듯 했다.

얼마 후 버스 한대가 선착장 입구쪽으로 천천히 들어왔다. 고흥군 읍내와 선착장을 오가는 시골버스인데 연홍도 주민들에게는 발과 같은 존재다.

버스가 도착하면 배가 온다는 한 주민의 귀띔대로 섬에 정박해 있던 배가 선착장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배는 정확히 출발시간인 오후 230분에 맞춰 관광객들을 태우고 섬으로 향했다.

연홍도 선착장에 도착하자 방파제에 세워놓은 거대한 흰색 조형물이 눈에 들어온다. 이름하여 소라부부’. 소라껍데기 모형의 2개 조형물 옆에는 푸른 바다를 배경으로 자전거를 타거나 바람개비를 돌리는 아이들의 천진난만한 모습을 상징하는 빨간색 철제구조물이 자리하고 있다.

 

마을쪽으로 발걸음을 옮기자 빨강과 초롱, 파란색으로 산뜻하게 단장된 함석지붕과 다양한 벽화들이 방문객을 맞는다.

마을 곳곳에 설치된 표지판도 예술품처럼 남다른 포스가 풍긴다.

선착장 주변 관광안내소 앞에 자리한 집은 벽 전체가 거대한 사진박물관이다. 주민들이 기증한 400여 장의 사진은 마치 오래된 흑백영화처럼 아련한 향수를 불러 일으킨다.

말 그대로 섬 전체가 자연과 예술이 어우러진 지붕없는 미술관이다.

마을 입구에서 만난 최완숙 연홍도 협동조합 사무장과 함께 본격적인 섬 투어에 나섰다.

연홍도의 매력은 아기자기한 골목길에서 엿볼 수 있다.

버려진 어구(魚具)나 폐품 등을 소재로 한 벽화나 정크아트에서 부터 주민들의 옛 추억을 형상화한 예술품들이 곳곳에 숨어 있기 때문이다.

가장 먼저 거금도 출신 프로레슬러 박치기왕김일, 아버지 고향이 고흥인 축구선수 박지성 등 연홍도와 인근 섬 출신 명사들을 그려 넣은 벽화들이 시선을 잡아당긴다.

 

폐부표기구로 꾸민 만수무강 경로당을 끼고 마을 안길로 접어들면 말뚝 박기 놀이하는 아이들, 조개껍질로 만든 꽃송이, 생선을 굽는 부엌, 물고기를 잡고 소라피리를 부는 아이들의 조형물에 매료돼 절로 카메라 셔터를 누르게 된다.

골목길을 빠져 나와 연홍도 해안을 따라 걷다 보니 바다 건너 완도 금당도가 병풍처럼 펼쳐진다.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풍경이 한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하다.

 

해안로 가장 자리에는 유년시절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30여 개의 설치작품들이 정겹게 자리하고 있다. 이들 작품을 따라 사진을 찍으며 싸목싸목걷다 보면 연홍미술관이 얼굴을 내민다.

연홍미술관은 연홍도의 오늘을 탄생시킨 산파역할을 한 곳이다. 정식명칭은 in 섬 연홍미술관으로 큰섬(거금도)에 딸린 작은섬(연홍도)의 미술관이라는 의미다.

1998년 폐교된 연홍분교를 리모델링한 미술관은 전국에서 유일한 섬마을 미술관이다.

단층 건물인 미술관은 학교 라기 보다는 일반 건물처럼 보이는 데 이는 2006년 교실 2동과 관사를 전시실과 숙소, 식당으로 개조한 덕분이다.

입구에 서있는 오래된 책읽는 소녀상이 과거 학교였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8년 동안 주인없이 방치된 폐교에 눈을 돌린 건 연홍도 출신 고 김정만 화백이다.

순천에서 중학교에 다니던 시절 여수순천사건을 겪은 그는 육군 대령으로 제대 후 어릴적 꿈인 그림을 그리고 싶어 홍대에서 미술을 공부한 만학도 였다.

고향에 내려온 후에는 산과 바다 등을 화폭에 담았고 자신의 작품을 지역과 미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무료로 나눠 주기도 했다.

현재 연홍 미술관은 여수 출신 선호남 화백이 운영을 맡고 있다.

선 관장은 서양화를 전공한 화가로 연홍미술관을 개관한 김정만 화백과 고흥 민예총 사무국장 시절에 만나 연홍미술관과 인연을 맺었다. 2005년 연홍도에 둥지를 튼 그는 김 화백의 뜻을 기려 미술관으로 새롭게 꾸미고 회화작품 50여 점을 소장해 정기적으로 기획전과 레지던시, 단체 연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최 사무장은 조형물을 따라 골목길과 한적한 해안 길을 걷다 보면 마음이 맑아지는 것 처럼 힐링이 된다면서 연홍도의 매력은 다른 지역의 벽화 마을처럼 화려하지 않지만 주민들의 평범한 일상과 섬의 옛 모습을 잘 살려낸 작품들이 많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파스텔 톤의 벽화와 감성 충만한 조형물은 인생사진을 찍기에 좋은 곳으로 소문이 나면서 근래 가족과 연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들 관광객은 걷기에 힘들지도, 그렇다고 너무 가볍지도 않은 길을 걸으며 마음의 여유와 위로를 얻는다.

특히 지난해 9KBS 2 ‘다큐 3에 연홍도의 72시간이 방송된 이후 전국 각지에서 온 관광버스 행렬이 줄을 잇는 등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주말에는 평균 500여 명의 관광객이 다녀갈 정도다.

연홍도가 지붕없는 미술관으로 화려하게 부활한 데에는 지난 2015년 전남도가 추진한 가고 싶은 섬프로젝트가 있다.

도는 막무가내식 개발이 아닌 생태자원 보존과 재생 등 섬의 가치를 키우는 블루 투어, 블루 라이트를 내세워 연홍도, 여수 낭도 등 6개 섬을 선정해 사업비를 지원했다. 그 결과 20143522명에서 20173929명으로 관광객이 10배 넘게 늘어났다.

사실 거금도, 나로도, 소록도, 연홍도 등 고흥의 크고 작은 섬에는 저마다의 볼거리와 사연이 있다. 한때 900여 명이 거주할 만큼 황금기를 보내기도 했던 연홍도는 현재 50여 가구에 80여 명의 주민들이 살고 있다.

연홍도에서 즐길 수 있는 관광 코스는 세 갈래의 산책길이다.연홍미술관에서 출발해 해변길을 거쳐 좀바끝으로 가는 코스(940m·40분 소요), 연홍미술관에서 연홍교회를 지나 마을회관까지 걷는 연홍도 골목길(1.16km·30분 소요), 마을회관에서 섬 가장자리인 아르끝 숲길(1.76km, 40분 소요)이다.

또한 섬 뒤편에는 바다 건너편의 금당도, 동쪽 편으로는 이순신 장군의 절이도 해전지 및 몽돌해변, 연홍미술관과 50m 떨어진 곳의 100m 백사장도 대표적인 명소다.

연홍도와 신양을 오가는 도선()은 동계(10~3)기준 하루 7(오전 755, 오전 945, 오전 11, 오후 1230, 오후 230, 오후 4, 오후 530) 운항한다.

광주일보=박진현 문화선임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