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읍면동 37% 소멸위험지역...서귀포시 더 심각
제주 읍면동 37% 소멸위험지역...서귀포시 더 심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14일 저출산·고령화포럼
제주 전체 위험지수 0.81...2013년 0.94보다 악화
제주 43개 읍면동 중 16곳 소멸위험지역에 포함
서귀포시 17개 읍면동 중 10곳...추자면은 고위험

도내 43개 읍·면·동 가운데 37%에 달하는 16곳이 저출산과 고령화로 소멸위험에 처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서귀포시는 17개 읍·면·동 중 60%에 육박하는 10곳이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14일 서울 용산구 동자아트홀에서 육아정책연구소와 공동으로 ‘저출산 시대 해법, 지역에 답이 있다’라는 주제로 제20차 저출산·고령화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제주지역 소멸위험지수(2019년 10월 기준)는 0.81로, 소멸 주의단계로 분석됐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 수를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으로, 1.5 이상은 ‘소멸위험 매우 낮음’, 1.0~1.5미만은 ‘소멸위험 보통’, 0.5~1.0 미만은 ‘주의단계’, 0.5 미만은 ‘소멸위험지역’으로 구분된다. 소멸위험지역 중에서 0.2~0.5 미만은 ‘소멸위험진입 단계’, 0.2 미만은 ‘소멸고위험지역’이다.


소멸위험지역은 가임여성 수가 고령자 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저출산 고령화로 공동체가 사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제주지역 소멸위험지수는 2013년 0.94에서 올해 0.81로 크게 악화됐다.


행정시별로는 서귀포시가 0.58로, 제주시(0.926)보다 소멸위험이 훨씬 컸다.


읍·면·동별로는 도내 43개 중 16곳이 0.5 미만으로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지난해 8월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에서는 소멸위험지역이 13곳이었다. 약 1년 사이 3곳이 더 늘었다.


특히 추자면(0.164)은 소멸고위험지역으로 구분됐다. 소멸위험진입 단계에는 한경면(0.302), 일도1동(0.347), 구좌읍(0.375), 송산동(0.383), 성산읍(0.394), 남원읍(0.395), 중앙동(0.403), 우도면(0.406), 영천동(0.413), 정방동(0.430), 천지동(0.447), 표선면(0.451), 한림읍(0.474), 효돈동(0.475), 대정읍(0.488) 등이 포함됐다. 소멸위험지역 16곳 중 서귀포시지역이 10곳에 달했다.


이와 함께 용담1동(0.537), 안덕면(0.548), 삼도2동(0.581), 건입동(0.581), 예래동(0.585) 등이 소멸위험 직전 단계까지 접근했다.


반면 아라동(1.647)과 오라동(1.632), 연동(1.522), 노형동(1.626) 등은 소멸위험이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상호 연구위원은 인구감소대응특별지역 지정을 통해 인구감소지역의 공동체를 대상으로 교육, 복지, 일자리, 문화를 연계한 지역발전모델 창출 등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