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해장성, 道기념물 답게 관리해야 한다
환해장성, 道기념물 답게 관리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환해장성(環海長城)은 고려와 조선 두 왕조에 걸쳐 제주 해안선을 따라 섬을 빙 둘러 가며 몽돌 등을 이용해 축조한 돌담성이다. 고려 때 삼별초가 대몽항쟁을 위해 처음 쌓기 시작했고, 조선에 이르러 왜구의 침입을 막고자 축조하고 보수했다. ‘탐라의 만리장성’이라고 불릴 정도로 그 길이가 300리에 달한다. 지금에 와서 봐도 대단한 역사(役事)가 아닐 수 없다.

겉보기에는 무질서하게 쌓은 것처럼 보이나, 큰 돌을 중심 삼아 단단히 고정한 후 먼저 내벽과 외벽을 만들었다. 그사이에는 크고 작은 잡석을 채웠다. 밖에서 보이는 틈에는 촘촘한 잔돌을 끼웠다. 그러면서 다양한 크기의 돌을 서로 엇갈려가며 맞물리도록 허튼층쌓기를 했다. 오랜 세월 동안 생명력을 유지한 것도 이래서다. 제주를 대표하는 방어유적으로 손색이 없다.

이런 이유로 제주도는 1998년에 환해장성 가운데 10곳을 지방문화재(기념물 제49호)로 지정했다. 화북 곤흘동(140m), 화북 별도(620m), 삼양(280m), 애월(362m), 북촌(263m), 동복(150m), 행원(310m), 한동(290m), 온평(2120m), 신산(600m) 등이다.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인정한 것이다. 소중히 여겨 보존에 힘써야 한다.

하지만 지금의 관리 실태를 들여다보면 개탄스러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 본지 기자가 현장 취재를 통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화북 곤흘과 북촌은 일부가 훼손된 채 방치되고 있다. 특히 북촌은 포크레인 등으로 밀어버려 장성의 행태조차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몰골이 흉측하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화북 별도다. 주변 토지가 해양쓰레기 집하장으로 활용되면서 환해장성이 맞나 의구심이 들 정도다. 시급한 보수와 적절한 행정 지도가 필요하다.

제주도 기념물로 지정했으면 그에 맞는 관리와 관심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덜렁 안내 표지판 설치로 그쳐선 안 된다. 그 가치를 제대로 홍보해야 한다. 도민과 토지주들도 이를 사유재산을 침해하는 ‘애물단지’처럼 취급해선 안 된다. 경우에 따라선 ‘꿀단지’가 될 수도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