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선수(先手) 잡아야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선수(先手) 잡아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전기차 시대엔 폐배터리 재활용산업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되리라는 것이 관련 업체의 시각이다. 현재 미국과 유럽, 일본과 같은 선진국은 물론, 중국 등 많은 국가가 배터리 리사이클 산업에 집중하는 것도 이래서다. 심지어 미국의 불룸버그는 2040년엔 신차의 절반 이상과 전 세계 차량 중 3분의 1이 전기차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함께 2050년에 배터리 리사이클 시장 규모를 600조 수준으로 내다봤다.

국내 전기차의 폐배터리 시장 전망도 긍정적이다. 업계에선 2024년 연간 1만 대, 2031년 연간 10만 대의 폐배터리 발생을 점치고 있다. 2040년엔 누적 폐배터리 발생량이 576만 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배터리의 핵심 소재 원가 비중도 전체의 40%가량이어서 사업성도 높다. 이래서 많은 지자체가 관심을 두고 있다.

제주지역 사정도 비슷하다. 지난 2011년 이후 올해 11월까지 도내에 보급된 전기차는 1만8000대에 이른다. 향후에도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되리라는 것은 명약관화하다. 폐배터리의 발생량도 꾸준히 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의 수명이 현재로선 평균 10년인 것을 고려하면 2021년 이후엔 기하급수적으로 늘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타 지자체는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향후 ‘제2의 반도체’라고 불리는 산업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다. 경북 포항시는 지난 10월에 차세대 배터리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에 선정됐다. 이를 계기로 미래 2차전지 기술개발 허브 도시로서의 탄생을 위해 심혈을 쏟고 있다. 전남 나주시는 올해부터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화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제주가 전기차의 선도 지역이라는 점에서 긴장해야 한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가 18일에 관련 정책 토론회를 개최한다는 점이다. 현재 미비한 관련 법과 제도를 탓하기에 앞서 조례를 통해 선제 대응 방안을 마련하자는 취지다. 의미가 크다. 제주가 ‘전기차 충전서비스 특구’로 지정된 만큼 이에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을 더해 시너지 효과를 거둬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