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간 생활하수, 엄정한 대처 필요하다
중산간 생활하수, 엄정한 대처 필요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중산간을 중심으로 개인하수처리시설이 급증하면서 잠재적인 지하수 오염원이 되고 있다니 실로 걱정스럽다. 그제 제주연구원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개인하수처리시설은 2007년 855곳에서 2010년 4177곳, 2019년 9월 1만400곳으로 갈수록 증가세다. 문제는 이 중 98.5%가 공공 점검대상에서 제외돼 관리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점이다. 지하수 오염에 대한 위기감을 높일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연구원이 개인하수처리시설이 밀집된 제주시 애월·조천읍에 대한 표본조사를 한 결과 관리 상태가 엉망이었다. 3000여 곳 대부분이 전원 고장으로 슬러지가 생기면서 해충이 서식할 정도였다. 방류수 수질도 10곳 중 7곳꼴로 기준치를 초과했다고 한다. 특히 숙박시설 10곳 중 4곳은 수질기준을 BOD(생화학적산소요구량)는 5배, SS(부유물질)는 2배 이상 넘어섰다.

지역별 오염 위해성 평가에선 제주시 애월읍과 조천읍, 서귀포시 성산읍과 안덕면이 지하수 오염 가능성이 높았다. 매년 개인하수처리시설이 급증한 탓이다. 담당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도 심각한 문제다. 전체 오수시설의 65%가 몰린 제주시는 1명이 고작이고, 서귀포시도 3명에 머문다. 정상적 관리가 힘든 시스템이다.

개인오수처리시설은 하수관로가 없는 중산간 일대의 주택과 영업점 등에 설치된다. 앞의 사례를 볼 때 모든 오수시설을 일제 점검하면 그 결과가 어떨지 짐작하고도 남는다. 중산간 일대의 오수 발생량은 1일 3만t에 육박한다. 정화 안된 막대한 양의 생활오수가 연일 땅속으로 흘러들면서 지하수를 오염시킬 건 뻔한 이치다.

중산간 생활오수가 관리 사각지대로 드러난 건 보통 일이 아니다. 이에 제주연구원은 운영실태를 파악하는 전수조사와 함께 민관이 공동 관리하는 ‘환경공영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도 당국은 이를 귀담아들어 중산간 오수시설에 대한 엄격한 기준과 원칙을 정립해 실행에 옮겨야 한다. 다른 지자체의 사례처럼 민간 전문업체에 맡기는 방안도 검토가 필요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