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치는 해양쓰레기, 근본대책 강구해야
넘치는 해양쓰레기, 근본대책 강구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 해안이 해마다 늘어가는 해양쓰레기로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그 양만 연간 2만t을 웃도는 것으로 추산된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해안가 전체가 쓰레기장으로 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하지만 쓰레기 처리 여건은 그리 좋지 않다. 끊임없이 대량 발생해 분리 수거가 어려운 데다 염분이 많아 소각시설에서 상시 처리가 곤란한 탓이 크다고 한다.

제주도에 따르면 연간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2017년 1만4062t, 2018년 1만2412t, 2019년 1만6112t에 이른다. 연간 1만5000t 안팎이다. 처리비용은 매년 100억원이 넘는다. 지난해만 해도 수거(61억원)와 처리(64억원)에 모두 125억원이 들었다. 매해 넘쳐나는 해양쓰레기로 인해 적지 않은 예산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심각한 건 수거되는 해양쓰레기가 발생량의 3분의 2 수준에 머문다는 점이다. 그만큼 많은 양이 방치돼 청정 해안을 오염시키고 있다. 최근의 상황은 악화일로다. 도내 소각장에서 해양쓰레기 반입을 꺼려 수거된 쓰레기조차 제때 처리하지 못한다. 염분과 이물질이 묻은 해양쓰레기가 소각로 고장을 유발한다는 이유다. 결국 집하장마다 쓰레기가 산더미처럼 쌓였다.

제주도가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해 정부에 ‘해양쓰레기 전(前) 처리시설’ 사업비 150억원을 요청했지만 반영되지 않았다. 이는 염분 제거와 자동 선별 등의 기능을 갖춘 시설이다. 전남·경남에 이어 세 번째로 해양쓰레기가 많은 곳이 제주여서 꼭 필요한 시설이다. 문제를 파악했으면 해결책이 나올 차례다. 정부의 전향적인 자세 변화가 요구되는 대목이다.

과거 해조류를 혼합한 해양쓰레기는 소각이 어려워 매립 위주로 처리했다. 그 결과 도내 쓰레기 매립장이 조기 포화됐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차제에 해양쓰레기를 예방, 수거, 처리, 재활용할 수 있는 종합대책이 강구돼야 한다. 필수시설 도입을 위한 정부 설득 논리도 필요하다. 바다에 생업을 둔 주민이 쓰레기를 청소한 뒤 보수를 받는 일본의 사례도 참고할 일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