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민 50명 이상 집단 학살 26곳에서 자행
양민 50명 이상 집단 학살 26곳에서 자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4.3추가진상조사보고서 발간...전과 올릴 목적으로 함정 토벌도 벌여
1949년 훈련을 받고 있는 제주읍 노형리 민보단원들. 이승만 정부는 민간인들을 ‘민보단원’으로 편성해 군‧경 토벌작전에 동원했다.
1949년 훈련을 받고 있는 제주읍 노형리 민보단원들. 이승만 정부는 민간인들을 ‘민보단원’으로 편성해 군‧경 토벌작전에 동원했다.

72년 전 제주4·3사건 발생 당시 한 장소에서 50명 이상 양민이 희생을 당한 집단 학살은 도내 전역 26곳에서 자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4·3평화재단(이사장 양조훈)은 집단학살 사건과 마을별 희생자, 수형인·예비검속 피해 실태 등을 담은 43추가진상조사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양민 집단 학살은 계엄령 선포와 중산간 마을 초토화작전이 전개된 194811월 중순부터 이듬해 3월초까지 4개월 동안 극에 달했다.

이 기간 희생자는 9709명으로 4.3당시 전체 희생자 14442명의 67%에 이른다.

특히 19481229일 제주에 주둔한 육군 9연대가 대전에 있던 2연대로 교체되면서 전과 올리기에 급급해 무장대로 위장한 함정 토벌, 도피자 가족과 자수자에 대한 집단 총살이 자행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집단 학살 장소와 피해 규모를 보면 북촌초등학교 북촌리 주민 학살(299) 함덕백사장·서우봉 학살터(281) 정방폭포 학살터(235) 표선백사장 학살터(234) 성산포 터진목 학살터(213) 도두리 주민 학살(183) 등이다.

이 외에 194812월 조천면 자수 사건의 경우 토벌대의 말을 믿고 청년들이 군 주둔지인 함덕초등학교로 찾아갔지만 이들은 바로 제주시 아라동 박성내’(제주여고 인근 하천)로 끌려가 총살당한 뒤 휘발유가 뿌려진 채 불태워져 96명이 한날 한시에 희생됐다.

토벌대는 또 무장대의 습격에 대한 보복으로 제주시 도두리로 피난 온 노형리 주민을 학살했다. 이 때 주민들을 동원, 총살현장을 공개하고 박수를 치도록 하는 만행도 저질렀다.

제주시 도평리 함정 토벌의 경우 특공대원과 외도지서 경찰관이 무장대로 위장, 마을을 포위했고 정체가 탄로났음에도 무고한 주민 78명을 외도리의 밭으로 끌고 가 집단 총살했다.

4·3평화재단은 43 당시 12개 읍·165개 마을의 피해상황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였다.

2003년 정부의 4·3진상보고서는 14442명의 희생자를 본적지로 분류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거주지로 재분류했다.

그 결과 노형리 희생자는 종전 544명에서 538명으로, 북촌리는 419명에서 446명으로, 가시리는 407명에서 421명으로 집계됐다.

노형리(노형동)는 자연마을인 월랑 178, 월산 96, 광평 76, 정존 64명 등을 합해 단일 마을에서는 500명이 넘는 최대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이 마을 주민들은 인근 마을로 피난을 가도 입산자 가족 또는 소개민이라는 이유로 희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43행방불명 희생자는 현재 43위원회가 확정한 3610명 보다 645명이 많은 4255명에 이르렀다.

이는 다수의 유해 수습을 하지 못한 행방불명인들이 사망 희생자로 신고 된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다.

추가 진상조사에서는 2261명에 이르는 수형인 행방불명 피해 실태도 중점적으로 규명됐다.

경인지역, 호남지역 형무소에 수감 된 수형인 행방불명 희생자들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밝혀냈다.

1950년 한국전쟁 직후 발생한 예비검속 희생자는 566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유해발굴 과정에서 40, 구금 또는 고문 후유증으로 희생된 13명 등 모두 53명의 행적만 확인됐을 뿐 나머지 513명의 신원과 행적은 여전히 확인되지 않았다.

교육계의 4·3 피해는 교원 271, 학생 429명 등 총 700명의 인적 피해와 93개 학교의 교육시설 등 물적 피해가 발생했다.

··우익단체의 피해는 군인 162, 경찰 289, 우익단체 640명 등 모두 1091명으로 파악됐다.

정규군이나 경찰관보다 서북청년단(서청특별중대)과 대동청년단 단원들이 더 많이 숨졌다.

양정심 4·3평화재단 조사연구실장은 “2003년 정부가 발간한 4·3진상보고서는 총론적 성격의 보고서라면 4·3특별법에 의거한 추가진상조사로 펴낸 이번 보고서는 구체적인 피해 실태를 파악해 진상규명을 더욱 심화했다고 말했다.

4·3평화재단은 향후 미국의 역할과 책임문제, 중부권과 영남권 형무소의 수형인 문제, 재외동포와 종교계 피해실태 등은 2~3권의 추가진상보고서에 수록할 예정이다.

 

 

1949년 3월 제2연대 헌병대장 조영구 대위 명의로 발급한 양민증. 도민들은 이동할 때마다 양민증을 제출, 허가를 받아야 했다.
1949년 3월 제2연대 헌병대장 조영구 대위 명의로 발급한 양민증. 도민들은 이동할 때마다 양민증을 제출, 허가를 받아야 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