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년 전 베트남에 표류해 극적으로 돌아오다
300년 전 베트남에 표류해 극적으로 돌아오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40) 김대황 표해일록과 영주10경
김대황, 1687년 베트남 표류해
외교·해양 문화사적 중요 기록
불교 7불 중 하나 석조 여래좌상
제주 자연미 담아낸 영주10경 
해방 이후 서귀포항과 새섬, 문섬 풍경. 제주목 관리로 제주진무였던 김대황은 1687년 9월 화북진에서 출발해 표류, 베트남과 중국을 거쳐 16개월 만인 1688년 12월 17일 서귀포항으로 돌아왔다. 김대황 일행의 표류기인 김대황 표해일록은 당시의 외교관계를 알 수 있는 자료다.

1687년 화북진을 출발한 후 표류해 베트남과 중국을 거쳐 극적으로 제주도로 돌아온 김대황 일행의 표류기 김대황 표해일록은 당시의 외교 관계를 알 수 있는 소중한 자료다

이번 질토래비 여정에서는 극적으로 가족 품으로 돌아온 김대황 일행의 표류 과정을 살펴보고 빼어난 경관들을 지역적 특색과 자연의 생성이치를 반영해 선정한 영주10경을 읊으며 아름다운 제주 풍경을 떠올려본다.

표류 16개월 후 서귀포항으로 귀향한 김대황 일행

16879월 초 화북진을 출발한 후 표류한 김대황 일행은 안남국인 베트남과 중국을 거쳐 16개월 만에 극적으로 16881217일에 서귀포항으로 돌아왔다

제주목 관리로 당시 제주진무(濟州鎭撫)였던 김대황은 한양 조정에 말을 진상하러 가는 책임자였다. 이상전 목사의 명을 받은 김대황은 키잡이 이덕인과 격군 등 모두 24명과 진상할 말 3마리와 함께 제주 바다를 건너던 중 추자도 부근에서 집채만 한 거센 파도를 만났다

돛대가 가울고 키가 부러져 침몰 직전에서 키잡이 이덕인의 슬기로운 대처로 침몰에서 겨우 벗어날 수 있었지만, 마실 물도 먹을 양식도 없는 일행은 어디론가 가는 배에 의지할 수밖에 없었다

이덕인이 바닷물을 끓고 수증기를 바가지에 받아 마실 물을 만들고 생쌀을 씹으며 허기를 달랬다

말들이 죽어 나가고 보름 동안 표류하던 일행들은 구사일생으로 베트남(안남국)에 상륙했지만, 말이 통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붙잡혀 안남국 관부로 끌려갔다

해적으로 오인받던 일행은 안남국 역시 한자 문화권의 나라였기에 의사소통이 되어 왜구가 아닌 조선인임을 인정받았다

그들은 물소로 밭을 갈고 코끼리를 타고 다니고 목동이 물가에 가서 휘파람으로 부르면 물소는 물속에서 스스로 나와 다시 그 등에 타고 달려 자기 집에 도착하는 것도 보았다

5개월이 지나 김대황은 자신들의 사정을 글로 적어 국왕에게 올렸다. 김대황 일행의 사연을 접한 안남국왕은 중국 상선에 돈과 쌀을 주어 김대황 일행의 송환을 도왔다

안남을 출발하여 3개월 만에 중국 절강성 온주부 해상에 도착했지만 그곳에서 해적을 만났다. 다행히 중국 온주부에서 해적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호위선을 붙여주었다

김대황 일행이 물기로 했던 상환료인 쌀 600포를 대신해 조선 조정에서 은자 2556냥을 내주어 결국은 가족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제주목사를 지낸 야계 이익태가 지은 지영록에 소개된 김대황 표해일록(漂海日錄)’의 주요 내용이다.

당시의 외교 관계와 표류, 항해에 관한 정보, 베트남과의 관계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기록 문화이자 외교와 해양 문화사적으로 훌륭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정방사 소장 석조여래좌상.

지방문화재인 정방사 복장유물과 석조여래좌상

정모시 서쪽에 위치한 정방사라는 절에는 도지정문화재로 유형문화재 제23호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 및 복장 유물이 있다

정방사 소장 석조여래좌상은 비사부불로 1702(숙종 28) 전남 순천 대흥사에서 회원 수일이 조성한 불상이다

전체 높이 61.5, 무릎 너비 42이다. 머리카락은 곱슬머리인 나발(裸髮)이고 정수리에 솟은 상투 모양의 육계는 작게 표현됐다. 불상의 법의는 양어깨를 모두 덮은 통견을 하고 있고, 불상의 허리 아래를 덮은 치마 모양의 군의도 띠 매듭이 없는 일자형이다

정방사 석조여래좌상은 복장의 확인으로 비사부불임이 밝혀졌다. 불교에서는 과거에서부터 현재, 미래에 이르기까지 부처가 출현해 중생들을 제도하게 되는 데 과거에는 모두 7불이 있었다. 그중 비사부불은 과거 7불 중 제3불로 과거 장엄겁에 마지막으로 출현해 세상을 교화시킨 부처이다

과거 칠불이 봉안된 경우는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것이다. 비사부불은 아마도 단독으로 조성됐다기보다는 과거 칠불의 특성상 일곱 개의 상이 함께 조성됐을 가능성이 크다

조선시대 전남 순천 동리산 대흥사에서 조성되었다는 기록을 근거로 나머지 여섯 불상을 찾아내 이들과 연관된 학술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는 불상이다.

제주시 조천읍 신촌초등학교 정문 앞에 있는 소규모 공원에 조성된 매계 이한진 유적비.

정방하폭과 영주십경

영주(瀛洲)는 신선들이 사는 물가라는 의미이다. 추사 김정희의 제자이기도 한 매계 이한우(이한진)는 제주도 경치 중에서도 빼어난 경관들을 지역적 특색과 자연의 생성이치를 반영해 영주10경으로 선정했다. 그가 10경을 선정한 이치는 철학적 논리를 갖고 있다

해가 뜨고 지니(성산일출·사봉낙조), 사계절이 운행되고(영구춘화·정방하폭·귤림추색·녹담만설), 음양의 조화가 이루어지니(영실기암·산방굴사) 동식물과 사람이 태어나더라(고수목마·산포조어). 자연철학과 제주의 자연미와 우주의 생성이치를 심오하게 담아낸 것이 영주10경인 것이다

제주선인들은 매계의 영주10경을 제주 최고의 시가 있는 풍경으로 선정해 오늘도 읊조리고 있다. 이에 더해 영주12경으로 용연야범(龍淵夜帆)과 서진노성(西鎭老星)을 추가하기도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