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급감 쇼크, 앞으로가 더 걱정이다
일자리 급감 쇼크, 앞으로가 더 걱정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코로나발 고용 쇼크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4월 우리나라 취업자 수가 전년 동기에 비해 47만6000명 줄었다고 한다. 외환위기였던 1999년 2월 65만명 감소 이래 최악의 고용 성적표다. 제주지역도 예외가 아니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37만명으로 1년 전보다 8000명 줄었다. 특히 올 들어 4개월 새 취업자가 2만명이나 격감 추세를 보였다.

이번 통계는 이미 예견된 위기가 마침내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실제 코로나19 장기화 여파로 일자리를 잃거나 구직을 포기한 비경제활동인구도 1년 전보다 1만6000명 급증했다. 그로 인한 도내 고용률은 65.8%로 전년 대비 2.3%p 하락하면서 최저치를 이어갔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실업급여 지급 규모가 4월에만 8248명·120억원에 이르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문제는 고용악화가 서비스업을 넘어 전 분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3차 산업 중심의 제주는 코로나발 소비가 얼어붙으면서 관광·여행·외식·숙박·공연 등이 직격탄을 맞았다. 관광객 급감에 내수마저 위축돼 지역경제가 실로 설상가상인 처지다. 자영업자들도 하루하루 버티는 게 힘들다며 직원들에게 휴직이나 퇴사를 권고하는 상황이다. 감염병 여파가 어디까지 미칠지 가늠하기 힘들 정도다.

취업자 수 감소는 실업 증가, 고용의 질 하락 등을 부추겨 사회불안 요소로 작용한다. 생산과 소비 모두가 경색되는 마당에 일자리까지 없어지면 개인이나 조직 가리지 않고 존립마저 위협받기 마련이다. 정부와 지자체가 고용 유지는 물론 사회 안전망 확보에 진력해야 하는 이유다. 자칫 이를 좌시했다간 감염병이 끝나도 온전히 회복할 수 없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물론 단기간 내 민간 일자리를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 역할로 고비를 넘길 수밖에 없다. 어제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공공부문 일자리 156만개 공급 방안을 밝힌 것도 그 일환이다. 이참에 제주도가 추진하는 일자리 프로젝트도 그 내용을 가다듬을 필요가 있다. 코로나 위기가 장기화할 국면이다. 노동·고용제도의 보완적 재설계도 검토할 시점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