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급 불안 농산품 지역 내 선순환 구축 ‘첫 발’
수급 불안 농산품 지역 내 선순환 구축 ‘첫 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도-JDC-제주도농업인단체협의회 업무 협약
먹거리 전략 수립·지역 내 소비 촉진 용역 추진
가격 안정 위한 재배면적 조절 한계 탈피 ‘주목’

매년 반복되는 농산물 과잉 생산으로 가격 피해를 보고 있는 농가에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이하 JDC), 제주도농업인단체협의회(이하 농단협)가 손을 맞잡았다.

제주도와 JDC, 농단협은 26일 제주도청에서 제주 먹거리 전략 수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은 제주산 농산물의 과잉생산 등 수급불안 문제 해소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보장과 제주도민 먹거리 욕구 충족 제주산 농산물 도내에서 우선 소비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들 기관은 제주 먹거리 전략 수립을 위한 실무팀과 기획단 등을 구성하고, ‘제주 먹거리 선순환 체계와 컨트롤타워 구축을 위한 연구용역·제주농업 발전 방향 모색 토론회 개최(JDC 사업비 1억원 지원), 제주 미래 농업을 위해 필요한 공동 사업 발굴 등을 공동으로 수행하기로 했다.

제주도는 그동안 수급 불안정으로 인한 농가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재배면적 조절 등으로 월동무와 양파, 마늘, 양배추 등 월동채소류 물량을 조절해 왔다.

2018년산 월동채소류 재배 면적 가운데 326가 조절 됐고, 물량만 18000t에 달한다. 2019년산은 재배 면적은 1289, 물량은 79000t이 조절됐다. 2020년도산은 5월 기준 459, 19000t이 조정됐다.

하지만 재배면적 조절로 남은 공간에 대처할 작물이 없어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재배면적을 줄여 농산물 가격을 적정선으로 유지했어도 산지 유통 회사들이 제값에 구매하지 않고 가격이 떨어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구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날 협약에 앞서 원희룡 지사도 이 문제에 대해 지적하며 타 지역 농산물 작황 현황, 수입 농산물 유입률, 소비자의 변동 등 외부적인 요인으로 도내 농산물의 수급이 불안정하다또한 유통이 생산을 지배하고 있고, 품목별이나 유통 경로별로 분류해야 하는 문제도 있어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원 지사는 제주도와 JDC, 농업인단체협의회가 손을 잡고 구체적으로 사업을 시작한다면 제주의 먹거리 산업이 대한민국과 글로벌, 후손들을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대림 JDC 이사장은 “JDC도 청정 1차산업에 제주의 미래가 있다는 생각을 갖고 제주 미래농업을 연구하기 위한 여러 가지 고민들을 하고 있다“JDC의 핵심 프로젝트의 한 축으로서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 농단협과 적극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강수길 농단협 회장은 제주농업 환경을 바꾸는 것만이 아닌 제주환경을 지키고 제주도를 지속가능한 농업의 나라로 만들어 나가는데 제주도 및 JDC와 힘을 합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는 농가 복지 및 농업경영 안정화를 위해 농작물재해보험 품목 확대 농작물 과잉생산 방지를 위한 휴경보상금 지원 제주형 농업인 월급제 도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