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문섬 일대 멸종위기종 ‘해송’ 집단 폐사 첫 확인
제주 문섬 일대 멸종위기종 ‘해송’ 집단 폐사 첫 확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녹색연합, 네 차례 수중 잠수 통해 목격
난대성 생물 담홍말미잘, 해송 성장 막아
범섬·형제섬 일대서도 해송 폐사 보고돼

서귀포시 문섬 일대 바닷속에 있는 법정 보호종인 ‘해송’과 ‘긴가지해송’이 집단 폐사한 사실이 처음으로 환경단체를 통해 확인됐다.

녹색연합은 28일 보도자료를 내고 문섬 일대 바닷속에 있는 해송과 긴가지해송이 집단 폐사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녹색연합은 최근 국내 최대 해송 서식지인 문섬 새끼섬 동쪽 수심 20~30m 지점에서 네 차례 수중 잠수를 통해 해송의 집단 폐사를 목격했다.

녹색연합에 따르면 난대성 생물인 담홍말미잘이 해송과 긴가지해송 등 각산호류의 뿌리와 줄기, 가지에 한두 개체씩 붙어 해송이 제대로 영양을 공급받지 못하도록 하고 있었다. 

심지어 해송 가지 전체에 담홍말미잘이 부착된 경우도 있었다. 

해송 주변 암반에 부착해 서식하는 담홍말미잘도 확인됐다. 

녹색연합은 해송류 가지에 무리 지어 사는 담홍말미잘의 존재는 이미 학계에서는 10년 전부터 확인했지만, 이처럼 해송 서식지가 전체적으로 훼손되는 경우는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담홍말미잘에 의한 해송 폐사는 범섬과 송악산 형제섬 일대서도 보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 큰 문제는 담홍말미잘이 서식 영역을 지금도 계속 확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녹색연합은 “국가 문화재와 생태계 보호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할 문화재청과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이 바닷속 법정 보호종 관리에 손을 놓고 있다”며 “구체적인 연차별 모니터링 자료도 없고, 해송의 집단 폐사 사실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들 멸종위기 산호충류는 세 행정기관의 사각지대에서 집단 폐사를 맞이한 것”이라며 “이들 관계기관은 멸종위기 산호충류를 법정 보호종으로 중복 지정하면서도 현장 관리는 떠넘기기에 바빴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해송 집단 폐사가 확인된 문섬과 범섬, 송악산 일대는 국내·외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는 곳”이라며 “관계기관은 해송의 집단 폐사 원인을 즉각 밝히고,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법적 보호를 받는 모든 산호충류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기후 변화로 인한 해양 생태계, 특히 법정 보호종으로 지정된 산호충류의 변화상을 추적해 이에 따른 대책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다의 소나무’로 불리는 해송은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이자,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해양수산부 지정 해양보호생물, ‘멸종위기종의 국가 간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2로서 국내·외 멸종위기종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