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하수처리시설, 사각지대에 둬서야
개인하수처리시설, 사각지대에 둬서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중산간 지역에 집중된 개인하수처리시설이 관리의 사각지대에 있다는 것은 심각한 일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행정 스스로 이 같은 사각지대를 해소할 역량을 갖추지 못했다고 판단되면 민간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인력 부족을 타령하며 시간을 허비하다간 지하수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

개인하수처리시설은 하수관로 매설 등 공공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곳에 들어선 주택이나 사무실, 편의점, 펜션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를 자체적으로 정화 처리해 인근 하천이나 지하로 방류하는 것이다. 제주의 경우 중산간이나 읍면 외곽지역에 주로 들어서 있다. 지하수질 오염 예방이나 주변 환경 보호를 위해선 행정이나 건물주가 시설 관리에 각별하게 신경을 써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러하지 못하다.

올해 초 제주연구원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개인하수처리시설은 2007년 855곳에서 2010년 4177곳, 2019년 9월 1만400곳으로 매년 늘었다. 이와 관련해 연구원이 제주시 애월읍과 조천읍에 대해 표본조사를 한 결과 3000곳 대부분이 전원 고장으로 슬러지가 생기면서 해충이 서식할 정도였다. 방류수 수질은 10곳 중 7곳꼴로 기준치를 초과했다. 한마디로 관리 상태가 엉망이었다. 지하수 오염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실로 중차대한 문제다.

제주시의 점검 결과도 제주연구원의 조사와 다르지 않다. 올해 들어 악취가 풍기고 물 색깔이 혼탁한 방류수 53건을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해 검사해보니 14건이 기준치를 넘어섰다. 건물주가 고장이 난 전기시설을 방치한 때문이다. 관리 부실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제주시 인력(4명)으론 신속한 점검과 보완은 언감생심이라고 여겨지는 것도 사실이다.

현재 수도권의 젖줄인 한강 수역을 담당하고 있는 경기도 가평·파주·양평은 수질오염 예방을 위해 개인하수처리시설 관리를 민간 전문업체에 위탁하고 있다. 점검은 물론 기술 지원도 이뤄져 건물주의 자체 관리 능력 향상에도 일조하고 있다고 한다. 이를 벤치마킹했으면 한다. 중산간은 지하수의 보고며 지하수는 제주의 생명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