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고마비’ 계절이지만…
‘천고마비’ 계절이지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고경업, 전략사업본부장 겸 논설위원

유례없는 무더위와 폭우에 시달리던 게 엊그제 같은데, 어느덧 가을이 성큼 다가왔다. 지난여름은 참으로 변화무쌍했다. 이른 폭염에 역대 가장 긴 장마. 잇따른 태풍 등이 겹치면서 여러모로 힘겨웠다. 그래서일까. 아침저녁으로 부는 서늘한 바람이 반갑다.

심한 일교차 속에 산뜻한 공기, 쾌청한 하늘 등을 마주하니 전형적인 가을 날씨를 느끼게 한다. 절기상 낮과 밤이 같아지는 추분(秋分)이 일주일 앞이니 그럴 만도 하다. 이제 산과 들에선 오곡백과(五穀百果)가 무르익을 것이다. 바야흐로 ‘수확의 계절’이다.

▲천고마비(天高馬肥)는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이다. 가을이 썩 좋은 계절임을 의미하는 말이다. 풍요로움을 표현할 때도 쓰인다. 가을을 상징하는 사자성어로 이만한 게 없다. 원래 ‘추고새마비(秋高塞馬肥)’로 당나라 시인 두심언(杜審言)의 시에 나온다.

“구름은 깨끗한데 요사스런 별이 떨어지고(雲淨妖星落·운정요성락), 가을 하늘이 높으니 변방의 말이 살찌는구나(秋高塞馬肥·추고새마비)…” 두심언은 당대의 시성(詩聖) 두보(杜甫)의 조부로, 변방에 근무하는 친구가 빨리 돌아오기를 바라며 시를 지었다고 한다.

▲그랬다. 과거 중국인들에게 북방은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위험지역이었다. 북쪽 초원시대에 살었던 흉노족들이 해마다 가을철만 되면 국경지대를 침범해 노략질을 일삼아서다. 기마족인 흉노는 바람처럼 나타나 약탈과 살인을 자행하고 다시 바람처럼 달아나곤 했다.

노략질은 은나라 때부터 거의 2000년 동안 이어졌다. 그러니 흉노는 중국의 각 왕조나 백성들에겐 공포의 대상이었다. 중국 역사서인 한서(漢書)에 ‘말이 살찌는 흉노추(匈奴秋)라 하여’, 오죽하면 흉노가 활동하기 가장 좋은 계절이라고 했겠는가. 그런 점에서 당시 중국인들에겐 ‘추고마비(秋高馬肥)’는 ‘고통의 계절’이었다.

▲한데 우리나라에선 ‘추고마비’보다 ‘천고마비’가 더 많이 쓰인다. 그 뜻도 변해 누구나 활동하기 좋은 계절을 이르는 말로 널리 통용된다. 예년에 각종 축제와 행사가 풍성하게 열린 이유다. 허나 올해는 그렇지 못하다. 그 대신 이른바 ‘집콕’과 ‘방콕’이 일상화됐다.

그야말로 ‘우울한 계절’이 아닐 수 없다. 이를 어쩌랴. 그러려니 하면서 참고 견디는 수밖에 없다. 그 과정서 방역 수칙 준수는 물론이다. 그러면 내년 가을에 다양한 축제와 행사가 재개될 게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