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이름 찾은 제주흑우, 품질로 결실 맺길
제 이름 찾은 제주흑우, 품질로 결실 맺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유통 단계에서 한우와 구분할 수 없던 ‘제주흑우’가 본래 이름을 되찾았다. 일제강점기 말살 정책으로 퇴색됐던 제주특산 토종소의 지위를 82년 만에 회복한 것이다. 박세필 제주대 교수(제주흑우연구센터장)는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9월부터 유통 단계에서 흑우의 표기가 이뤄져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며 “관련 산업 발전과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긴 시간을 돌아 제주흑우의 진위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는 걸 의미한다.

그간 제주흑우는 도축증명서에만 흑우로 표기됐고, 유통·소비 단계에선 단순히 한우 또는 육우로 적어 혼선을 초래했다. 이번 제도 개선으로 생산·유통업자는 전산화된 거래시스템을 통해 제주흑우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됐다. 소비자 역시 제주흑우 품종과 등급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돼 그 신뢰도가 높아질 거란 전망이다.

사실 제주흑우가 지금에 오기까지는 아픈 흑역사가 자리한다. 무엇보다 일제 때 털색을 기준으로 제정한 한우표준규정에서 배제됐다. 1980년대에는 육량 위주의 정책으로 한우 교잡우가 대량 사육되면서 몸집이 작은 흑우가 빠르게 자취를 감췄다. 그나마 2004년 국제식량농업기구(FAO)의 한우 품종 계통으로 흑우가 등록된 데 이어 2013년 천연기념물 제546호로 지정돼 그 명맥을 유지해오고 있다.

아쉬운 건 여러 호조건에도 제주흑우가 그 끈을 이어가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국가기념물로 인정받은 데다 흑우 보호·육성을 위한 제주도 조례까지 마련됐는데도 그 성과가 미미한 것이다. 지난해 말 기준 도내 흑우 사육규모는 90여 농가에 1000두를 조금 웃돌고 있다. 이쯤이면 FAO의 관리지침상 멸종위험군으로 분류된다.

중요한 건 가축 증식의 성과는 장기적인 계획과 끈기 있는 실천이 있어야만 얻을 수 있다는 교훈이다. 2009년부터 제주흑우의 복원기술을 개발해 번식의 길을 열어 놓은 박 교수팀의 노력과 결실이 이를 입증한다. 흑우브랜드화 사업에 대한 당국의 꾸준한 지원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이제 제주흑우의 품종 표기를 계기로 관련 산업에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길 기대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