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거래 자유화·내연차량 제한 서둘러야
전력거래 자유화·내연차량 제한 서둘러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신년기획-제주형 그린뉴딜의 방향과 과제
CFI 10년 경험 ‘탄소중립’ 선도
제주지역 신재생에너지 확대 속도
도내 생산비율 14.4% 전국 최고
전기차 2030년 37만7000대 목표
‘탄소 제로’ 그린수소 생산 역점 사업
도민 공감 형성·중앙 부처 협력 필요

제주 CFI 2030=제주도는 2012년부터 저탄소 실현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CFI 20302030년까지 도내 전력수요에 대응하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4085규모로 도입하고, 친환경 전기차 377000대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도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 기준안인 4203000t보다 34% 감축한 2779000t까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

CFI 2030 추진에 따라 지난해까지 제주지역 신재생에너지 생산비율은 14.4%로 전국 최고 수준이고, 전기 사용량의 연평균 30% 이상을 샌재생에너지로 공급하고 있다.

정부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전기 사용량을 20%까지 달성하는 것이 목표인데, 제주는 이미 7부 능선을 넘은 상태다.

제주 신재생에너지로 전력 대체=제주도가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을 추진한 결과 도내 신재생발전설비 용량은 지난해 기준 521.7이다.

이 가운데 태양광발전 용량은 245, 풍력발전 용량은 269(육상 239, 해상 30)이다.

제주지역 총 발전량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14.85%에서 201812.92%로 올랐고, 2019년 보급률은 14.34%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 개발이 예정되거나 인허가 절차가 진행되는 태양광·풍력 발전 사업이 잇따라 진행되고 있어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규모도 급격하게 늘어날 전망이다.

제주도 등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서 개발 절차를 진행중인 육상·해상풍력발전 사업 규모는 1165. 개발 절차를 이행중인 태양광발전시설 규모도 600에 달하고 있다.

친환경 전기차 지속 증가=제주도는 수송용 부분에서 화석연료 저감을 위해 전기차 보급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환경부와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말 기준 도내 전기차 등록 대수가 21261여대로 집계됐다. 이는 도내 전체 등록 차량 39만여대의 5% 정도 수준이다.

전기차는 2013302대에 불과했지만 보급된 이후 7년 만에 2만대까지 불어났다. 전국 보급물량에 비교해 19%에 달하는 수치다.

제주도는 2025년까지 전기차 약 167000대를 공급 목표로 충전인프라를 늘리고, 폐배터리 활용 산업 활성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풍력발전 출력제한·전기차 보급 주춤 한계=하지만 제주도가 10년 가까이 CFI 2030 정책을 추진하며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특히 전력계통 접속한계로 풍력발전단지 출력제한이 매년 늘고 있고, 전기차 보급률은 저조하기만 하다.

지난해 12월말 기준 제주지역 풍력발전소는 77회나 멈췄다. 20153회였던 출력제한 명령은 201946회에 달했다.

전력거래소는 올해에는 출력제한 명령이 200회를 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적 손실 규모만 227억원에 달한다.

전기차는 구매보조금이 크게 줄고, 차량 가격은 올라가면서 소비자들의 구매 메리트를 떨어트리고 있다.

제주형 뉴딜정책=제주도는 그동안 추진했던 카본프리아일랜드(CFI) 2030’ 정책을 바탕으로 출력제한 등의 한계점을 극복해 그린뉴딜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가장 먼저 전력거래 자유화를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전력계통 접속한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 누구나 사고, 팔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제주에서 실현한다는 것.

현재 국내 전력 공급·판매 시스템은 중앙집중형이다. 대규모 화력·원자력·신재생에너지 등에서 생산한 전기를 한국전력이 일괄 매입해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한전이 전기 공급을 판매 독접하고 있는 것으로 관련 법을 개정하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제주도는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해 전력거래 자유화를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분산에너지란 중앙집중형 발전소와 달리 수요지 인근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해 전력계통 안정화에 기여하는 자원을 말한다.

이와 관련 산업통상자원부도 지난해 말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고, 업계와 지자체 등과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계통 문제 해소 지역별 에너지자립 강화 신시장·신사업 창출 방안과 함께 분산에너지 특구지역도 설치해 원스톱으로 실증부터 적용, 성공사례까지 만들겠다는 방향을 제시해 전력거래 자유화에 한걸음 다가설 수 있게 됐다.

윤형석 제주도미래전략국장은 출력제한이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제주에서 전력거래 자유화를 먼저 실현해 전국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력거래자유화가 실현되면 잉여전력을 활용해 친환경 모빌리티 배터리를 충전하고, 공유 서비스와 재생에너지 연계 EV충전소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그린수소(P2G : Power to Gas)’ 생산도 선도적인 그린 뉴딜을 향한 제주의 역점 사업이다.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만 이용해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전혀 없는 수소를 말하는데 제주도는 최근 재생에너지 연계 대규모 그린 수소 생산·저장·실증 부문국가 공모 사업에 선정됐다.

그린수소 실증 사업에 향후 3년간 국비 140억원을 포함해 220억원이 투입된다.

제주도는 이번 사업에서 3급 물을 전기분해하는 수전해 시스템을 구축해 하루 평균 수소 200을 생산한다. 또한 그린수소 600을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한다. 이를 통해 수소버스 9대를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제주도는 보다 강력한 전기차 도입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2030년부터 내연기관 차량 신규 등록 중단을 추진한다.

제주도는 도민사회와 폭넓은 논의, 이해관계자와 소통을 통해 보완방안을 마련하고 중앙부처와 협력을 통해 연관 산업 전환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김정은 기자 kje0317@jej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