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을 장려하려면 인프라부터 갖춰야
출산을 장려하려면 인프라부터 갖춰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쌍둥이를 임신한 산모가 제주에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소방헬기로 부산대병원으로 이송하는 상황을 언론보도를 통해 접한 도민들로선 가슴을 졸였을 것이다. 산모는 출산 전으로 안정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디 순산하길 바란다. 그런데도 한편으론 고위험 산모를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인프라가 도내에 전무하다시피 한 것에 대해선 분노가 치밀어 오른다.

결혼과 출산이 늦어지면서 고연령 산모가 느는 것은 제주만이 아닌 전국적인 현상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0년 4만3000명이던 35세 이상 산모는 2018년 10만4000명에 달했다. 만 35세 이상의 여성이 임신하면 고위험 산모로 분류한다. 임신중독과 난산, 조산, 산후출혈, 임신성 당뇨, 기형아 출산 등의 발생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고연령 산모가 증가하면서 우리나라의 출생아 10만 명당 산모가 사망하는 모성사망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평균을 웃돌고 있다.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0년간 OECD 평균은 8.21인 반면에 우리나라는 12.29에 달했다. 보건복지부가 2014년부터 인구와 생활권역을 기준으로 해 전국을 15개 권역으로 구분해 총 20개소의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설치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하지만 제주엔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가 없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도 비관적이라는 것이다. 도내에서 센터를 설립할 자격을 갖춘 곳은 제주대학교병원이 유일하다. 그런데도 2019년과 지난해에 복지부의 센터 설립 공모에 응하지 않았다. 신생아 전문의 등 8명 이상의 전문인력과 별도의 간호인력을 채용해야 하는데 지원자가 없다는 것이다. 신생아 중환자실도 2개 병원에 23병상에 불과하다 보니 위급 상황에 대비해 여유 병상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낙후된 인프라에서 출산 장려책을 펼치고 있다니 놀랍다.

산모라면 이번 부산대병원행의 사례가 결코 남의 일 같지 않다고 여겼을 것이다. 복지부와 제주대병원, 제주도가 머리를 맞대서 통합치료센터 설립을 추진해야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선 저출산 대책을 아무리 강조한들 구두선에 불과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