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지역소멸 방지에 주력해야 한다
그래도 지역소멸 방지에 주력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지난해 제주지역 자연증가 인구(출생아-사망자)가 37명에 불과한 것은 심각한 일이다. 더 큰 걱정은 추락하는 폭이 급격하다는 것이다. 2018년 처음으로 1000명 아래인 869명이더니, 2019년 541명, 지난해 37명으로 감소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는 자연증가 자체가 마이너스로 돌아설 수도 있다. 실로 암담함을 느끼게 한다.

이러다 보니 43개 읍·면·동 가운데 27개 지역은 출생아보다 사망자 수가 많았다. 제주시나 서귀포시 원도심은 말할 것도 없고, 비교적 인구가 늘고 있는 애월읍(-37명)과 조천읍(-61명)에도 자연감소가 뚜렷했다. 원인은 젊은 층의 유출이다. 여기에 저출산이 겹치며 고령화한 지역사회가 더 침체하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다. 고소멸 위험지역으로 전락하는 것도 시간문제다.

더욱이 코로나19로 인해 결혼과 출산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전국적으로 코로나19가 심각해진 지난해 2월부터 출산 회피 현상이 나타나면서 9개월 이후인 그해 10월, 11월 이후부터 출생아가 크게 줄었다. 혼인은 출산보다 코로나19에 따른 충격이 크고, 장기간 지속한다는 것도 근심스럽다. 이는 출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혼인이 지나치게 위축되지 않도록 정부 차원의 정책과 사회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제주도는 대응책 마련에 주력해야 한다. 정부는 연 1조원 규모의 ‘지방소멸 대응 특별양여금’을 신설해 내년부터 지원키로 했다. 인구감소지역으로 인구 유입 등을 유도하기 위한 지방소멸 대응 사업 예산도 편성했다. 맞춤형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국회는 최근 ‘고향사랑 기부금법’을 처리했다. 이에 따라 제주도 등 각 지자체는 2023년 1월부터 기부금을 모금할 수 있다. 출향 인사는 연간 최대 500만원을 낼 수 있다. 기부자에겐 세액 공제와 함께 특산품을 답례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본의 ‘고향세’가 지역에 활력소를 불어넣은 것처럼 전국의 지자체는 이 법이 지방 재정에 도움은 물론이고 지역 소멸을 막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부터 홍보 등 다양한 전략을 준비했으면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