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 초기대응 늦은 이유 있었네
재해 초기대응 늦은 이유 있었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상황접수 분산 운영…통합시스템 구축 절실
제주도가 각종 재난에 대한 예방과 재난발생시 신속한 대응체계 및 복구시스템을 위해 119 상황접수를 인적, 자연재난으로 이원화 하면서 위기 대처능력이 오히려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제주도는 지난 3월 도소방방재본부에서 ‘방재’기능을 도시건설방재국 치수방재과로 이관, ‘도소방본부’로 조직을 축소, 개편했다.

이에 따라 도소방본부는 화재·구조·구급 기본업무와 가스 및 교통사고, 산업재해 등 인간의 활동에 의한 인적재난만 담당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태풍과 풍수해에 의한 자연재해는 치수방재과 산하 재해상황실에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인적, 자연재해 등 모든 재난·재해 상황의 97%는 119에서 접수되면서, 소방당국은 집중호우로 침수 피해신고를 받을 경우 다시 재해상황실로 재통보하는 등 초기 상황접수가 분산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재난사고 보고 채널의 이원화로 초기 대응이 지체되고 위기대처 능력도 저하되고 있다는 것.

실제 지난달 집중호우로 1100도로 영실입구 일부 구간 도로가 유실돼 운전자들은 119에 신고했으나, 119는 다시 재해상황실로 보고하는 상황이 벌어졌고, 운전자들은 도로 진입 여부를 제 때 확인하지 못해 불편을 겪었다.

일각에서는 재해상황실 번호를 (710)3671 외우기 어려운데다 긴급상황시 인적, 자연재해를 구분해 신고하기가 어려운 점을 감안해 119통합 신고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좌동철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