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사건 진상 보고- ② 제주4·3사건은 왜 발생했나
4·3사건 진상 보고- ② 제주4·3사건은 왜 발생했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1947년 3·1절 미군 발포사건 4·3 도화선

광복 이후 제주사회

광복 후 제주사회는 다른 어느 지역보다 일제시대 강제징용, 징병, 노역, 공출에 앞장섰던 ‘친일파의 청산’에 대한 광범위한 요구가 있었다.

이는 일제가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1940년대 제주도를 대미항전의 최후 보루로 삼아 제주도 전역을 요새화, 제주도민들을 군사기지 건설을 위한 노동력으로 극심하게 강제 동원했기 때문이다.

또 일제는 제주도민을 볼모로 한 옥새작전을 상정하는 등 20여 만명의 제주도민들을 최후 결전의 소모품으로 사용하려 했던 것이다.

도민사회의 이 같은 시대적 요구를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 도내 항일인사를 중심으로 자생적으로 만들어진 유일한 조직체인 ‘제주도인민위원회’가 일제를 대신해 들어온 미군정과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활동하고 있었다.

도인민위원회 온건 정책 추구

특히 도인민위원회는 다른 지역의 인민위원회가 1945년 말부터 자취를 감추었던 것과는 달리 제주도의 정치적.사회적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미군 쪽 자료들은 기술하고 있다.

도인민위원회의 독자성은 1946년 대구 10.1사건의 불참과 과도입법의원선거의 참여의 사례에서도 엿볼 수 있으며 다른 지역에 비해 온건한 정책을 추구하고 광범위한 지지를 받는 자치기구였다는 점이 인정되고 있다.

또 존속기간이 전국에서 가장 길었다는 점과 중앙이나 전남 인민위원회 조직과도 일정하게 거리를 두는 등 도인민위원회의 차별성도 미군정 당국의 보고서를 통해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도인민위원회와 제주주둔 미군정과의 관계는 해를 거듭할수록 갈등관계로 돌아설 수밖에 없었다.

미군정은 일제시대 관리를 대거 재등용하고, 친일경력의 경찰을 군정경찰로 임명했으며, 지역사정(흉년)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무리하게 곡물수집정책(경제정책의 실패)을 벌여 도민들과 필연적인 마찰과 대립을 만들었던 것이다.

더욱이 미군정 관리와 모리배의 결탁(1947년의 복시환사건)은 콜레라의 확산(1946년)과 겹쳐 제주사회의 인심을 흉흉하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美 실정·콜레라 확산 민심 흉흉

이 같은 상황에서 도민사회에서 미군정에 대한 노골적인 불만이 커지기 시작했고 학생들 사이에서는 군정반대, 양과자 반대시위가 전개되는 등 반미운동의 기운이 싹터갔다.

이 같은 도민사회와 미군정과의 긴장국면이 조성된 분위기 속에 광복 이후 두 번째 맞은 1947년 3.1절 기념식은 제주현대사의 분수령으로 기록될 만큼 역사흐름의 한 획을 그은 날이었다.

미군정의 집회 불허에도 불구하고 좌파 중심이나 우익인사와 관공리까지 포함돼 구성된 ‘3.1투쟁기념행사 제주도위원회(위원장 안세훈)’ 주최의 이날 행사에 2만5000~3만명의 도민이 참가했고 군정경찰이 집회해산을 위해 발포, 인명이 살상되면서 제주사회를 들끓게 만들었던 것이다.

조선 최초 관공리 총파업

이 때문에 그 때까지 큰 소요가 없었던 제주섬에는 ‘조선에서 처음 보는 관공리의 총파업(조선통신사, ‘조선연감1948년판’)’이 시작되고 미군정 당국은 진압병력을 대거 제주도로 내려보내 검거공세를 강화함으로써 미군정과 제주도 좌파세력이 전면 충돌하는 국면으로 전환됐다.

4.3위원회의 진상보고서에는 3.1절 발포사건을 4.3으로 가는 도화선이자 기점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