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폭등 경제전반 갈수록 충격
환율폭등 경제전반 갈수록 충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미국의 금융위기가 유럽으로 확산되고 세계 경제의 동반 침체 가능성까지 커지면서 국내 경제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글로벌 신용경색의 심화로 원.달러 환율이 폭등하고 주가는 추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패닉(공황상태)에 빠지면서 기업들은 자금 조달줄이 막혀 아우성이다. 통화파생상품에 가입한 중소기업의 손실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금리도 덩달아 급등해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의 부실화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커지는 등 경제 전반에 비상등이 커졌다.

전문가들은 금융시장의 불안이 단기간에 해소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우리 경제의 주름살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 기업 자금사정 악화
국내외 자금시장이 얼어붙고 은행들이 돈줄을 죄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가릴것 없이 자금난을 겪고 있다.

한국은행이 2천163개 제조업체를 조사한 결과, 대기업의 자금사정 실사지수(BSI)는 지난 5월 96에서 7월 89, 8월 85로 크게 떨어졌다. 국내외 경기 부진과 금융시장의 불안이 수익성 저하로 이어지며 자금 사정이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소기업은 더 심각한다. 은행들의 중소기업 대출 증가액은 올해 2분기 6조5천억 원에서 3분기 3조9천억 원으로 뚝 떨어졌다. 중소기업의 회사채 발행액은 8월 70억 원으로 전달보다 75% 급감했다.

대기업의 8월 회사채 발행액은 2조2천16억 원으로 29.1% 증가해 중소기업보다 사정이 낫지만 최근에는 일부 그룹의 유동성 위기설로 인해 악화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신용이 낮은 중소기업은 발행 금리에 관계없이 회사채를 발행하기 힘든 실정이다.

은행들이 경기 악화를 우려해 대출 심사를 강화할 계획이기 때문에 기업들의 자금난은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들은 수입 대금 결제를 위해 달러 확보에 나서고 있지만 달러 품귀 현상이 심화하고 원.달러 환율이 계속 폭등하면서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전자나 자동차, 조선 등 수출 업종의 경우 달러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출해 벌어들인 달러화를 원화로 바꾸지 않고 있다. 원자재 수입 비중이 큰 업체들은 결제 대금을 마련하는데 전전긍긍하고 있다.

◇ 가계.中企 부실 우려 `뇌관'
금융시장 불안과 경기 침체로 가장 우려되는 것은 가계와 중소기업의 부실 가능성이다.

8월 말 현재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07조5천억 원으로 작년 말보다 6.6% 증가하며 300조 원을 돌파했다.

2006~2007년에 급증했던 대출의 만기가 거치기간을 거쳐 내년부터 원리금 상환 시기가 돌아오는 데다 최근 금리 급등으로 이자 부담이 커져 서민 대출자를 중심으로 부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근 은행권의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사상 처음으로 최고 연 10%를 넘어섰으며 변동금리형 대출 금리도 8%대로 급등했다.

6월 말 현재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은행(0.38%)과 보험(0.72%)은 낮지만 상호금융기관(2.45%)과 여신전문금융회사(1.99%), 저축은행(6.31%) 등은 높은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을 포함한 은행권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작년 말 0.6%에서 0.7%로 다소 상승했다.

금리 상승세가 지속되고 경기 부진으로 실질 소득까지 감소하면 대출 연체 증가→금융회사 건전성 악화→금융시장 불안으로 직결된다.

처분조건부 대출도 가계에 부담이 되고 있다. 투기지역에서 새 집을 사기 위해 1년 이내 기존 주택을 처분하는 조건으로 이뤄진 대출 가운데 연말까지 1만9천 건의 만기가 돌아온다. 부동산 경기침체로 기존 주택을 팔기 어렵다는 민원이 속출하고 있다.

만기 안에 기존 주택을 매각하지 못할 경우 20% 가량의 연체이자를 물어야 하고 3개월이 지나면 경매 절차를 밟게 된다. 헐값에 팔 경우 대출자는 그만큼 손해를 보게 되고 가뜩이나 침체된 부동산시장은 매물을 떠안게 된다.

중소기업 대출의 연체율도 심상치 않다. 은행 연체율은 작년 말 1.0%에서 8월 말 1.5%로 급등했다. 경기 둔화에 따른 영업 부진으로 빚 갚을 능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중소기업들은 통화파생상품 `키코'의 손실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지난 8월 말 현재 키코에 가입한 471개 중소기업이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실현손실 5천62억 원, 평가손실 7천784억 원 등 총 1조2천846억 원의 손실을 입었다. 최근 환율이 계속 폭등하고 있기 때문에 손실은 더 커지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황인성 수석연구원은 "경기가 하강하는 국면에 금융 불안으로 금리가 오르고 외화수요가 늘면서 기업 투자나 민간 소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