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 대물림에 멍드는 위탁보호아동
가난 대물림에 멍드는 위탁보호아동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경기불황이 장기화되면서 빈부격차 등 사회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부모의 실직·별거·가출·이혼에다 심지어 자녀 양육포기에 이르기까지 가정해체 역시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위탁 보호아동 문제가 가난의 대물림과 함께 지역사회의 또 다른 핵심 키워드로 고착화되는 양상이다.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가 28일 제주시청소년수련관에서 ‘가정위탁보호 5년을 말하다’ 사업보고회를 가지면서 밝힌 자료에 따르면 올해 11월말 현재 도내 위탁 보호아동은 260세대 362명에 이른다. 2003년 33세대 57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5년 사이에 보호아동 수가 무려 6배 이상 늘었다. 그 가파른 상승세가 매우 놀랍다.

과거 여러 차례의 불황 여파보다 훨씬 심각한 느낌이다.

그러나 사회 양극화로 빈곤층의 생계난이 가정해체로 이어지면 선택권조차 없는 아이들은 가족을 잃고 가정에서 내몰리게 된다.

더욱 큰 문제는 이 과정에서 할아버지나 할머니가 손자와 손녀를 직접 돌보는 조손가정이 새로운 빈곤계층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의 경우 조손가정 아동은 249명으로 전체의 69%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조부모 대다수는 생활능력도 없고 건강도 여의치 않은데다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손자와 손녀에게 정서적인 도움이나 실질적인 학습 지원에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

그럴수록 아동들은 학력이 저하되고 심리적 상처만 키우게 된다.

결국 가난의 대물림이 어린 가슴을 깊게 멍이 들게 만들고 있다는 얘기다.

탈선과 범죄의 유혹 등 사회 부적응이 우려된다.

우리가 가정해체의 급증을 결코 가벼이 봐선 안 되는 이유다.

정부와 지자체의 광범위한 대책과 지역사회의 관심 제고가 더 없이 절실하다.

일차적으로 과외에 필요한 공부방 활성화 등 교육지원을 강화하기 바란다.

학습 도우미와 같은 자원봉사자와 후원자 등 사회적 참여 확대도 필요하다.

빈곤 아동에 대한 투자는 미래에 대한 투자, 곧 빈곤 탈출이다.

다른 어떤 복지정책보다 이를 우선하고 지원대상자를 넓혀 나가는 일은 가난과 열악한 교육의 대물림을 끊는 길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