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살림살이 더 어려워질 것 61.9%
새해 살림살이 더 어려워질 것 61.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IMF때 보다 더 어렵다' 49%...'새해 경제 나빠질 것' 62%

제주일보사는 기축(己丑)년 새해를 맞아 ‘2009년 경제 전망과 지역 현안’에 대한 도민의식 조사를 실시했다.

이 조사는 (주)리서치21에 의뢰, 지난 12월 26일부터 27일까지 이틀간 도내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1051명을 성별.연령별.지역별 비례할당으로 추출, 전화면접조사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구간에서 ±3.02%이다.

▲2008년 경제상황과 2009년 경제전망

2008년 제주의 경제상황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에 대해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89.4%가 ‘어렵다’고 인식, 심화된 경제난과 얼어붙은 체감 경기를 반영했다.

응답자별로는 49%가 ‘IMF때 보다 더 어렵다’, 17.9%가 ‘IMF때와 비슷하다’, 22.5%가 ‘IMF때 만큼은 아니지만 어렵다’고 인식한 반면 ‘좋다’는 0.7%, ‘보통으로 견딜만하다’는 7.6%, ‘잘 모르겠다’는 2.3%로 조사됐다.

부정적인 의견은 행정구역별로 제주시(90.2%)가 서귀포시(86.8%)보다 다소 높은 가운데 연령별로는 50대(94.1%), 40대(93.0%), 30대(90.7%), 20대(84.1%)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400만원 이상 고소득자(95.5%), 직업별로는 자영업.개인사업(93.5%), 노무직.기능직.일용작업직(91.8%), 주부(91.8%) 순으로 부정 응답률이 높았다.

2009년도 제주지역 경제는 2008년과 비교해 어떠할 것으로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61.9%가 ‘나빠질 것’이라는 의견을 보인 반면 ‘좋아질 것이다’ 10.4%, ‘같을 것’ 25.1%, ‘잘 모르겠다’ 2.6%로 조사, 새해 경기도 어두울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부정적인 의견은 서귀포시(68.5%)가 제주시(60.0%)보다 많았고 연령별로는 40대(72.1%), 학력별로는 중졸이하(69.2%), 소득별로는 400만원 이상(71.6%)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또 직업별로는 생산.판매.서비스직(66.9%), 자영업.개인사업(64.7%) 순으로 나타난 가운데 교사.공무원(51.5%)이 가장 낮았다.

▲경제 활성화 요인과 유망산업 분야

2009년도 제주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투자유치로 관광개발 확대’(47.5%)를 우선 꼽았고 다음으로 ‘관광객 유치 증대’(22.2%), ‘공공건설사업 확대’(13.1%), ‘감귤소득 증대’(9.0%) 등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귤소득 증대’ 응답률은 서귀포시 읍면지역과 동지역이 각각 20.6%, 14.3%로 조사, 제주시 읍면지역 11.4%, 동지역 5.2%보다 높게 나타나 산남지역 농심을 반영했다.

학력별로는 ‘투자유치로 관광개발 확대’는 고졸(51.3%), ‘관광객 유치 증대’는 중졸이하(30.8%)에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농업.어업.축산업만이 감귤 소득 증대(30.6%)에 가장 많이 응답한 반면 나머지 다른 직업에서는 투자유치로 관광개발 확대가 가장 필요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2009년에 가장 희망이 있는 산업분야로는 관광(57.1%), 물산업 등 신성장 동력산업(17.0%), 일반 서비스업(7.2%), 건설(6.9%), 감귤산업(3.7%) 등 순으로 꼽혔다.

관광분야 응답자는 행정구역별로 서귀포시(67.2%)가 제주시(54.2%)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66.7%)이 남성(50.2%)보다 높은 가운데 직업별로는 주부(81.6%), 교사.공무원(60.6%), 연령별로는 50대(66.9%)에서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신성장 동력산업 응답자는 대학원 이상(21.2%), 농업.어업.축산업(27.8%)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경제성장목표. 관광객유치목표 달성 가능성

제주도가 지난해 11월 당시 밝혔던 2009년도 경제성장 목표 5% 계획의 달성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71.7%가 ‘가능성이 낮다’고 인식한 반면 ‘가능성이 있다’는 11.3%, ‘보통’은 16.1%, ‘잘 모르겠다’는 0.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의견은 서귀포시(74.0%)가 제주시(71.1%)보다, 성별로는 남성(73.2%)이 여성(69.7%)보다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40대(78.6%), 학력별로는 대학원이상(75.0%), 소득별로는 400만원 이상(79.5%), 직업별로는 주부(83.0%)에서 부정적인 의견이 더 높게 나타났다.

제주도는 최근 경제성장목표를 ‘3%’로 하향 조정했지만 이같은 설문결과로 볼때는 이 목표 달성도 그리 쉽지많은 않다는 의견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09년도 600만 관광객 유치 목표 달성 가능성에 대한 설문 결과에서도 응답자의 47.3%가 ‘가능성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가능성이 있다’는 26.8%, ‘보통’은 25.0%, ‘잘 모르겠다’는 0.9%에 머물렀다.

부정적인 의견은 서귀포시(57.0%)가 제주시(44.6%)보다, 성별로는 여성(51.3%)이 남성(44.6%)보다 높았다.

또 연령별로는 50대(54.2%)가 가장 높고 40대(52.6%), 30대(47.9%) 순으로 부정적인 의견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학력별로는 중졸 이하(61.5%), 소득별로는 400만원 이상(58.0%), 직업별로는 주부(70.7%), 농업.어업.축산업(50.0%) 등에서 부정적인 의견이 우세했다.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

제주도가 시행중인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 인지도에 대한 설문 결과 응답자의 39.4%가 알고 있는 반면 ‘모른다’는 19.4%, ‘보통’은 41.2%로 나타났다.

‘알고 있다’는 응답은 성별로 남성(46.7%), 연령별로 50대(49.2%), 60대이상(56.8%), 학력별로 대학원이상(59.6%), 소득별로 300-400만원(51.2%), 400만원이상(48.9%), 직업별로 교사.공무원(57.6%), 자영업.개인사업(55.4%)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제주도의 경제정책들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설문에서는 응답자의 35.7%가 ‘효과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효과 있다’는 18.9%, ‘보통’은 45.4%로 나타나 피부에 와닿는 대책 마련 필요성을 제기했다.

효과가 없다는 의견은 성별로 남성(33.9%)보다는 여성(39.8%), 연령별로 30대(40.4%), 40대(40.2%)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중졸이하(50.0%), 대학원이상(41.9%)에서, 직업별로는 농업.어업.축산업(43.8%), 자영업.개인사업(40.3%)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김태환 제주도정에 대한 평가

김태환 제주도정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 과반수에 가까운 응답자가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 현재의 도정 운영 방식에 불만을 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잘하고 있다’(8.7%)와 ‘매우 잘하고 있다’(1.0%) 등 긍정 응답은 9.7%에 불과한 반면 ‘못하고 있다’(33.2%)와 ‘매우 못하고 있다’(16.6%) 등 부정 응답이 49.8%에 달한 가운데 39.1%가 ‘보통’이라고 응답, 부정적인 시각이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

부정적인 의견은 연령별로 60대 이상 29.5%, 50대 31.4%, 40대 52.1%, 30대 53.2%, 20대 54.1% 순 으로 낮아질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 부정적인 응답률은 제주시동지역(51.2%), 서귀포시동지역(49.6%), 서귀포시읍면지역(48%), 제주시읍면지역(46.3%) 순으로 조사됐다.

또 학력별로는 대졸(52.7%), 대학원 이상(54.8%) 등 고학력일수록, 소득별로는 400만원 이상(56.8%)에서 부정적인 시각이 크게 우세했다.

직업별로는 부정 의견이 학생(59%), 관리.사무직(57.8%)에서 과반수를 넘긴 가운데 긍정 의견은 교사.공무원(19.7%), 전문직(13.8%)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같은 도민 인식은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부풀었던 기대감에 미치지 못한 성과, 해군기지와 국내 영리병원 등 각종 현안에 대한 해법 제시와 갈등 조정 역할 미흡, 공직사회 비리 등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김재범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