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생명 지하수 - ⑨ 계획에 의한 물 관리
제주의 생명 지하수 - ⑨ 계획에 의한 물 관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광역상수도시스템으로 합리적 물관리

도 전역 단일권 상수도 공급체계 구축
제주시 광역상수도 공급 거부 진통도
GIS 구축 지하수 보전·관리에 도움


만성적인 물 부족 사태를 경험하던 극한 상황에서 수원지와 지하수 개발 등이 잇따라 이뤄지면서 이제는 합리적인 물 관리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새로운 과제로 대두됐다.

이에 따라 구상된 것이 광역상수도시스템 구축이다.

1993년 11월 수립된 제주도수자원종합개발계획에서는 광역상수도 도입방안이 제시됐고 1994년 확정 고시된 제주도종합개발계획에서 광역상수도 공급방안이 채택됐다.

광역상수도 건설은 1, 2단계로 나눠 시행하는 것으로 계획됐다.

1단계 사업은 제주시를 기점으로 조천~구좌~성산~표선~남원~서귀포를 잇는 동부지역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2단계 사업은 애월~한림~한경~대정~안덕~서귀포를 잇는 서부지역을 대상으로 광역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한 것이다.

제주도 전역을 단일권으로 묶는 광역상수도 공급체계 구축 및 관리는 당초 한국수자원공사가 맡도록 돼 있었다.

그러나 건설교통부는 1995년 11월 제주도가 맡도록 결정함에 따라 제주도 차원에서 시행됐다.

1996년 4월 착수된 1단계 사업은 국비 996억원, 지방비 314억원 등 총 1310억원이 투입돼 2000년 12월까지 이어졌다.

지하 수자원의 효율적 개발 이용과 보전 관리, 지역간 용수 불균형 해소, 안정적인 용수 공급을 목표로 이뤄진 1단계 사업은 14개 지구에서 하루 13만5000t의 지하수 개발이 이뤄졌다.

이와 함께 정수장 5곳, 가압장 4곳과 137㎞에 이르는 관로가 시설됐다.

광역상수도 건설사업은 기존과는 달리 정수장 1곳에서 4~5개의 대형 관정을 개발해 취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취수에서부터 배수까지 전과정을 컴퓨터시스템으로 통제할 수 있는 전자동 제어시스템도 구축됐다.

1단계 공사가 계획대로 추진됨에 따라 도는 1999년 9월 도 전역을 수도관로로 연결하는 광역상수도 2단계 공사를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2단계 공사는 국제자유도시건설계획 등에 따른 기반시설 확충으로 안정적 용수 공급 및 지역 간 불균형 해소를 목표로 했다.

점차 수질 오염이 심해지는 서부지역 수원의 대체 및 인구 증가 등에 따른 용수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처하겠다는 것이다.

도는 계획과는 달리 지난해 착수된 2단계 공사에 총 사업비 1113억원을 들여 8개 지구에 56공의 지하수를 뚫고 하루 8만8000t의 지하수를 개발할 계획이다.

또 4곳의 정수장과 1곳의 가압장, 그리고 92.1㎞의 관로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 같은 사업이 정상대로 추진되면 2001년 350ℓ였던 1인당 하루 급수량은 2011년에는 430ℓ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취지로 광역상수도 1단계 공사가 끝났지만 당초 계획했던 것처럼 수자원의 효율적 개발 이용과 보전 관리는 시간을 필요로 했다.

하루 1만3500t의 시설 용량에도 제주시 등에서 기존 시설을 활용해 충분히 급수가 가능하다며 광역상수도 공급을 거부하는 등 진통을 겪었다.

이 때문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광역상수도 시설이 상당 부분 낮잠을 자야 했고, 도광역수자원관리본부는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려야 했다.

광역상수도 공급시스템 구축이 이뤄지는 한편에서는 체계적인 물 관리를 위해 지하수 이용이 대폭 강화되기 시작했다.

제주도개발특별법에 의해 지하수 굴착허가를 받도록 했는데, 1995년 5월 남제주군 안덕면 서광서리 마을공동목장과 제주온천리조트의 경우 특별법에 의한 첫 지하수 굴착허가로 기록됐다.

국내 시판 여부에 비상한 관심을 끌었던 먹는 샘물의 경우 대법원의 판결에 따라 전격 시판이 허용되면서 수질이 양호한 제주도 지하수의 난개발과 이로 인한 지하수 고갈이 우려됐다.

이에 따라 지하수의 적정 관리를 위해 지방공기업 외에는 제조.판매 목적의 지하수허가를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이 보완됐다.

특히 종합적인 환경 보전과 관리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도 전역에 대한 지리정보시스템(GIS)이 구축된 것은 지하수 보전 관리를 위해서도 커다란 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GIS 구축은 도종합개발계획 수립과정에서 중산간 해발 200~600m의 경우 지하수가 주로 함양되는 지역임에 따라 이 지역에 대해 보전과 이용 방안이 수립돼 난개발에 따른 지하수 오염을 방지하고 아름다운 자연환경의 파괴를 막아야 한다는 여론에 따라 추진됐다.

도내에서 지하수 개발이 성공하면서 지하수는 만성적인 물 부족에 시달리던 도민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안겨줬다.

이에 따라 지하수 개발이 잇따랐고 이를 통한 개발이 가속됐다.

하지만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은 도민 생존과 지속 가능한 발전에 커다란 위협요소로 등장하게 됐다.

이 때문에 지하수의 보전과 관리는 제주사회의 주요한 문제로 자리잡기 시작했으며, 지하수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노력은 지속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