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로당 중앙당 지령설 진위
남로당 중앙당 지령설 진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남로당 중앙당 지령이 아닌
서청과 경찰 횡포에 맞선 것"


남로당 중앙당 지령설의 근원은 남로당 지하총책을 지냈다는 박갑동이 1973년부터 중앙일보의 ‘남기고 싶은 글’에서 4.3문제를 언급한 데서 비롯된다.

박갑동은 이 글에서 “남로당 중앙당의 폭동 지령에 의해 4.3사건이 발생했다”고 언급했으며 이때부터 보수적인 입장에 있는 필진들에 의해 재생산, 인용되고 그 배후에 북한과 소련이 있다는 식으로 확대 해석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박갑동은 2002년 7월 11일 증언을 통해 “당시 문제가 된 글은 내가 쓴 것이 아니고 내 글을 신문에 연재할 때 외부에서 다 고쳐서 그렇게 된 것”이라고 해명한 데 이어 “4.3이 5.10선거 반대투쟁이라지만 왜 유별나게 제주에서만 그랬겠는가? 4.3은 서청과 경찰이 횡포를 부려 발생한 사건이다. 본격적인 무장투쟁이 아니며 경찰과 서청에 대항하기 위해 제주도 안에서 자체적으로 일어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내외 4.3연구자들도 남로당 중앙당의 지령이 없었던 것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남로당에 관여했던 증언자들도 제주도당의 독자적인 결정이었음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또 김점곤 전 육군 소장과 백선엽 전 대장 등 군 장성 출신도 저서를 통해 남로당 중앙당 지령설에 의문을 제기하고 도당에서 이뤄진 돌출적인 행동이었던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제주도당이 시도했던 4월 3일 경비대 동원계획이 무산된 과정과 관련, ‘제주도 인민유격대 투쟁보고서’는 모슬포 9연대에는 중앙 직속 프락치와 도당에서 파견한 프락치가 있었는데 중앙당 프락치였던 문상길 소위가 도당 프락치인 고승옥 하사관의 병력 동원 요구를 중앙당의 지시가 없다는 이유로 거절하는 바람에 경비대 동원에 의한 거점 분쇄가 실패로 돌아갔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 기록은 남로당 중앙당이 제주도 무장봉기에 개입하지 않았다는 결정적인 단서가 되고 있다.

보고서는 이에 따라 “4.3사건은 제주도의 특수여건과 3.1절 발포사건 이후 비롯된 경찰 및 서청과 제주도민의 갈등, 이로 인해 빚어진 긴장상황을 남로당 제주도당이 단독선거 반대투쟁과 연계해 일으킨 사건”으로 판단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