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정책 더 적극적으로
감귤정책 더 적극적으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도의 감귤 적정생산 정책이 왠지 미덥지가 않다. 대대적인 감산 정책 추진에 확신이 서지 않기 때문이다.

올해 감귤정책의 핵심은 감귤원 폐원 확대와 2분의 1 간벌의 성공적 추진이다. 그나마 2분의 1 간벌 실적은 2150㏊로 당초 목표 2000㏊를 초과 달성해 다행이다.

그러나 제주도가 더 공들여 추진하고 있는 감귤원 폐원 실적은 867㏊로 목표면적 1416㏊의 61% 수준에 그치고 있다. 만약 폐원사업이 더 이상 큰 진척이 없을 경우 감귤농가뿐 아니라 온 도민의 소망인 적정생산을 통한 감귤 가격의 안정은 크게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2분의 1 간벌이 예상외의 성과를 거두긴 했으나 역시 폐원의 성과만 못할 것이다. 도는 꼭 폐원 목표를 달성해 과잉생산의 우려는 물론 가격하락 현상의 재현을 막아야 한다.

물론 감귤 파동의 책임이 제주도와 시.군 및 농.감협 등 관련 부서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스스로 생산량을 줄이지 않고 품질향상 노력을 소홀히 해온 생산농가들의 잘못도 인정해야 한다.

하지만 감귤만 유독 정부의 농정체제에서 벗어나 정부와 지자체의 특별 지원을 받는 농업이 아니다. 생산대책과 유통문제 모두 다른 농업 지원대책과 동일하다.

이런 형태의 농정은 오히려 농업 선진국들일수록 더 중시하는 경향이다. 연간 감귤 생산 목표를 제주도가 제시하고 꼭 성공하도록 하는 정부와 지자체의 감귤가격 안정 정책은 지속돼야 한다.

농협의 유통대책 역시 가격이 폭락하면 생산농가와 함께 책임을 진다는 연대의식을 가져야 한다. 그래야 출하 조절이 제대로 이뤄지고 조금이라도 더 좋은 가격 유지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혹시 제주도가 감귤생산 및 유통대책의 농가자율체제로의 점진적인 전환을 생각하고 있다면 주요 도정을 포기하겠다는 말밖에 안된다. 제주경제의 축인 생명산업을 농가 자율에 맡긴다는 것은 책임 회피에 불과할 뿐이다.

제주도는 오는 6월 말까지로 잡은 감귤원 폐원사업을 반드시 앞당겨 달성해야 한다. 본격적인 농번기가 닥치기 전에 폐원사업을 끝내야 한다.

일반농사와 감귤 꽃 따주기 및 열매 솎기 등으로 농가 일손이 더 바빠지면 폐원사업은 느슨해질 수밖에 없다. 도 등 각 지자체의 폐원사업 조기 독려와 생산농가의 적극적인 자진 참여가 요구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